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SCOPUS 학술저널

악곡의 구조와 초견능력에 따른 예비박에서의 시선움직임 비교 -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Eye Movements during Perusal Time According to Musical Structure and Sight-Reading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69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ye movements during perusal time prior to sight-reading according to musical structure and sight-reading ability. To this end, 19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ad a single-line melody, a melody in parallel motion, and a melody with harmonic accompaniment through a Tobii Pro X2-60 eye track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mputer monitor and played the electronic piano with a 10-second perusal time. Then, their eye movements during the perusal time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eye movements during the perusal time differed according to musical structure and sight-reading ability. The more complex the music, the more and longer the total fixation number and total fixation duration are in skilled sight-readers, whereas the less and shorter they are in less skilled sight-readers. Second, skilled sight-readers skim all the measures although concentrating on the first measure, whereas less skilled sight-readers mostly read the first and second measures. Third, when reading melodies, skilled sight-readers read the relationship between notes, whereas less skilled sight-readers read focusing on notes. Fourth, when reading music with a two-hand structure, skilled sight-readers gaze more and longer on the right-hand area than on the left-hand area, whereas less skilled sight-readers gaze more on the left-hand area than on the right-hand area.

본 연구의 목적은 악곡의 구조와 초견능력에 따라 피아노 초견 연주 시 예비박에서의시선움직임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예비초등교사 19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모니터 하단에 설치한 Tobii Pro X2-60 시선추적기를 통해 단선율, 병행진행 선율, 화성반주 선율을10초간의 예비박과 함께 초견으로 읽고 전자 피아노로 연주한 후 예비박 동안의 시선움직임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박에서의 시선움직임은 악곡의 구조와 초견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초견능력이 뛰어난 집단에서는 악곡이 복잡해질수록 총 응시수와 총 응시시간이 더 늘어나고 길어졌으며 평균응시시간은 짧아졌다. 반면, 그렇지 못한 집단에서는 총 응시수와 총 응시시간이 더 줄어들고 짧아졌으며 평균응시시간은 길어졌다. 둘째, 초견능력이 뛰어난 집단은 예비박에서 악곡의 전체 마디를 빠르게 읽는 반면, 그렇지 못한 집단에서는 거의 첫마디와 둘째마디에만 시선이 머물렀다. 셋째, 초견능력이 뛰어난 집단은 선율을 읽을 때 음표와 음표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읽는 반면, 그렇지 못한 집단에서는 음표에 집중해서 읽었다. 넷째, 양손 연주인경우 초견능력이 뛰어난 집단은 오른손을 중심으로 읽는 반면, 그렇지 못한 집단에서는 왼손을중심으로 읽었다.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III. Methods

IV. Results

V. Conclusion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