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중등학교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의 교사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Incumbent Music Teachers on Teacher Competency

시대적 변화에 따른 학교 교육과 교사 역량에 대한 다양한 논의 속에서, 본 연구는 음악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의 인식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미래 음악교사 양성 및 선발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고찰과 전문가 타당성 검증을 통해 음악교사의 역량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이후 예비 및 현직 음악교사 139명의 응답을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및 현직교사 모두 음악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중요도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인식을 보여주었으며, 중요도와 성취도 간의 차이는 대부분의 역량군과 하위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IPA와 Borich 요구도의 분석 결과는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 우선순위에 있어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경우 음악교사 선발 및 임용과 직접적으로 관계된 문항들에 있어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난 반면, 현직교사에게는 현장을 비롯한 교육 경험과 관련한 문항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남으로써, 역량의 종류와 내용에 따라 예비 및 현직교사의 요구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장과 연계한 음악교사 양성과정의 중요성과 현직교사의 요구에 적합한 재교육 및 연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In various discussions on school education and teacher competencies in changing times, this study aimed to obtain policy implications for nurturing and selecting future music teache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gree of perception of per-service and incumbent music teachers regarding competency requirements. To this end, the Competency of music teachers was summarized through the review of subject-related prior research and expert validation, and responses from 139 prospective and incumbent music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pre-service and incumbent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importance of competency requiremen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achie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ost competency groups and sub-ite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IPA and Borich needs showed very different priorities between pre-service and incumbent teachers. For pre-service teachers, questions directly related to the selection and appointment of music teachers showed high priority, while incumbent teachers showed high demands and needs for questions related to educational experience, including on-the-job training. Accordingly, this research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linked to the field and the need for re-education and training suitable for the needs of incumbent teacher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