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SCOPUS 학술저널

디지털 매체와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환경을 활용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 질적 탐구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Collaborative Music Composition Activities Using Digital Media and On-offline Blended Environments

  • 494

본 연구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을 설계 및 실행하여 그룹 내의 협력적 창작 과정을 질적으로 탐색하고 수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50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수업을 실행하고 수업관찰영상, 웹사이트 데이터, 면담, 성찰에세이, 마인드맵, 활동지, 창작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차에 걸친 코딩으로 질적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그룹 내 협력 과정의 전략으로 ‘통합’과 ‘선택’을 발견하였다. ‘통합’과 ‘선택’은 모두 협력적 창작을 위해 구성원들이 팀 내에서 합의한 나름의 규칙이자 하나의 전략이었다. 또한, 그룹 내 창작 과정에서 학생들의 태도가 변화했던 요인으로 동료 학생들의 ‘정서적 지지’에 따라 학생들의 ‘자신감’이 달라졌다는 변화를 논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 공교육 현장에서 협력적 음악창작 활동이 가지는 의의와, 학교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음악창작 수업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llaborative creative process within the group by designing and executing music creation activities using digital media. Qualitative data such as class observation videos, website data, interviews, reflection essays, mind maps, and worksheets were collected from 50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wo-stage cod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integration' and 'selection' were found as strategies for the cooperation process within the group. Both 'integration' and 'selection' were rules and strategies agreed upon by members within the team for collaborative creation. In addition, discussions regarding changes in students' 'confidence' due to 'emotional support' as a factor affected students' attitudes in the creative process in the group. Through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collaborative music creation activities in the field of public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strategy of practical music creation classes in post COVID-19 era were presented.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