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코로나19 시기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기에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 내 교육지원 활동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이들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역량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학부모정책연구센터에서 실시한 학부모교육참여패널조사의 4차년도 자료인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308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IBM SPSS Statistics 26.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아동 성별과 어머니의 취업 여부를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사회적 역량을 매개로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에 미치는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였다. 교육 주체인 어머니의 가정 내 교육지원 활동에 주목한 이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가정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간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역량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사회적 역량을 고취할 수 있는 개입 방안과 이와 관련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social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for mothers of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and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during the COVID-19 perio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on 308 mothers having a child in a transition to a higher grade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Parent Educational Involvement (PSKPEI) in 2020, and carried out by bootstrapping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6.0 program and SPSS Process Macro. Our main findings illustrated that social support for mother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ir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through their social competence. In other words, when mothers have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they tend to have a higher levels of social competence, in turn, leading to better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s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for mothers o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for their children by placing emphasis on mothers’ social competenc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