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과 개선방안

The Content Analysis of Introductory Art Therapy Textbooks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 양성 교육에 기본이 되는 입문서인 ‘미술치료학개론’의 교재 분석을 통하여 현재 대학 및 대학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들의 전반적인 내용과 구성을 살펴보고,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과정의 개발과 향후 미술치료학 개론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국내 소재 대학 및 대학원에서 사용되는 7권의 교재를 선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로 발달재활서비스 미술 심리 재활 영역의 인정 기준인 미술치료학개론의 교수요목을 기반으로 분석 틀을 설정하여 개론서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개론서는 미술치료의 전체적인 내용들을 다루면서도 저자의 관심과 성향, 발행 연도 등에 따라 담고 있는 내용과 그 구성이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론서 집필에서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미술치료학 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처음으로 시도된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 연구로서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textbooks currently used i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for the Introduction to Art Therapy course, an introductory course for educating art therap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introduction to art therapy. As the study subject, seven textbooks used i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n Korea were selected, and the analysis framework was based on the syllabus of the course, which is the accreditation standard for the field of art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in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services. The framework involved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ion in each textbook. The contents were analyzed and reflected in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while all the introductory textbook has the overall content focused on art therapy,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contents in each textbook varied according to the author's interest and disposition, and the publication year.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ults identified the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writing of future introductory textbooks and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 therapy curriculum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first attempted content analysis study of the introductory art therapy textbook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limitations, future studies are recommend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