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장애인을 위한 자녀양육 상담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on Parenting Counseling for Disabled Mothers
- 이미영(Miyoung Lee) 최연실(Youn Shil Choi) 김성은(Seongeun Kim)
- 한국가족치료학회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제30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9
- 465 - 492 (28 pages)
본 연구는 경기도 A시 장애인복지관의 의뢰로 진행된 여성장애인을 위한 자녀양육 상담 실행연구로,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 실행, 관찰 및 반성 과정을 통해 1, 2차 상담을 수행하고, 연구참여자의 상담 참여 경험을 탐구하여 여성장애인을 위한 자녀양육 상담의 개선점과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장애인 6명을 대상으로 2020년 12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1, 2차 상담을 총 100회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이 실행연구 참여를 통해 경험한 변화는 구체적인 자기표현의 시작, 자녀와의 긍정적 상호작용 확장, 자기 존중 욕구의 선명화, 적극성의 발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층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여성장애인과 가족을 위한 임상적 개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study’s purpose is to provide improvements and implications for child care counseling for women with disabilities by conducting primary and secondary counseling through planning, implementation, observation, and reflection processes, and by exploring the counseling experience of research participants. Methods: A study was conducted at the request of the Disabled Welfare Center in A, Gyeonggi-do, and the first and second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100 times from December 2020 to December 2021. Results: The changes tha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experienc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implementation study were the beginning of specific self-expression, expansion of positive interactions with children, clarity of self-esteem desire, and exercise of initiative.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clinical intervention data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experiencing multi-layered difficultie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