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업로드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적장애인의 정서 및 사회성 기술에 관한 중재연구 동향 분석

  • 87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의 정서 및 사회성 기술에 관한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과 중재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지적장애인을 위한 효과적인 정서 및 사회성 기술 평가 및 중재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분석대상 논문의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통해 총 34편의 연구가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논문들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헌분석틀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연구의 기본적인 특성(연구자와 게재 연도 및 게재 학술지, 연구 참여자)과 중재 특성(연구 설계방법, 중재 기간 및 장소, 독립 변인, 종속 변인 등)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최근 10년 동안 매년 2-6편의 관련 논문들이 게재되어 왔으나 그 수가 상대적으로 미비하였으며, 게재 학술지는 특수교육 분야가 가장 많았다. 연구 참여자 분석결과, 지적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실행되어 왔으며 지적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실행된 연구는 단 한 편이었다. 연구 설계방법을 분석한 결과,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가 가장 많이 실행되었으며, 중재 장소는 통합학급보다는 특수학급과 복지관이 높게 나타났다. 총 중재 회기는 10∼12회기가 가장 많이 실행되었고, 회기별 중재 시간은 45∼50분이 가장 많았다. 변인별 분석결과, 독립변인으로는 승마, 댄스, 체조, 배드민턴 등의 신체활동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실행되어 왔으며, 종속변인으로는 사회성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s Ratings System: SSRS)의 하위구성 요소인 협동, 자기주장, 자기통제 요소에서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가 가장 많았다. 제언: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인의 효과적인 정서 및 사회성 기술 중재방안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