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소년이 인식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적용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pplication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가 인식하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개인의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이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을종단적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년 자료 중 중학교1학년 패널의 1차~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변수들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유용한 자기회귀교차모형을적용하여 종단적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이 인식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가각각 이후 시점의 부정적 양육태도 인식,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전 시점의 부정적 양육태도를높게 인식할수록 이후의 자아존중감이나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낮았고, 이전 시점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삶의만족이 유의하게 높았다. 삶의 만족이 높을수록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더 낮게 인식하였고, 자아존중감은 높았다. 부모의부정적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낮추는 반면 자아존중감에서 부정적 양육태도 인식으로 가는 교차지연계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기의 부정적 양육태도 인식과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의종단적인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 형성과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utual influence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adolescent children through longitudinal perspective. Data from the first to third years of the panel of the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used among the 2018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longitudinal correlation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hich can determine the direction of longitudinal causality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adolesc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percep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t later tim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higher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t the previous point was, the lower the self-esteem or life satisfaction afterward.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the lower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the parents, and the higher the self-esteem. Recognition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lowere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whereas the cross-delay coefficient from self-esteem to negative parenting attitude perception was not significant. Through these result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perception of adolescenc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as confirmed and efforts to form positive self-esteem and improve life satisfaction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선행연구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