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Exploration o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istribution Norm and Justice Sensitivity

컨조인트 방법을 적용하여 개발한 분배 규범 척도와 자기보고식 공정 민감성 척도에 대한 471명의 중·고등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학교급 및 성별과 관계없이 보상(칭찬, 성적, 상금)의 분배 기준으로서 능력, 노력, 필요 순으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집단 분석을 수행한 결과, 약 50%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분배에 있어서 필요와 노력에 비해 능력을 월등하게 중시하는 능력주의자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 유형에 따라 학생들이 적용하는 분배 기준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칭찬, 성적, 상금 모두의 경우 분배 기준으로 능력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의 경우에 능력에 가치를 두는 경향이 가장 강했으며, 칭찬의 경우에는 노력에, 상금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필요를 더 비중있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해자 공정 민감성이 높을 때 분배 대상의 능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존재하였으며, 가해자 공정 민감성이 높은 학생이 상대적으로 노력에 보다 높은 가치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developed scale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norm and justice sensitivity of 47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tudents placed importance on ability, effort, and necessity, in that order, as the standard for distributing rewards regardless of school level or gender. Meanwhile, the latent profile analysis suggested that about 50% of the students were meritocracists, placing greater importance on ability than necessity and effort in distribution. (2)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the distribution standard applied by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reward, ability was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regardless of the type of reward. In the case of grades, the tendency to value ability was the strongest, and it was found that effort and need were considered relatively more heavily in the case of praise and prize money, respectively. (3) When a victim's justice sensitivity was high, there was a tendency to primarily consider ability as the distribution standard,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petrator's justice sensitivity predicts a relatively higher valuation on effort.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선행연구 분석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