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1941년 국민학교령 제정 전후 활용된 일본 국정 지리 교과서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Geography Textbooks in Japan before and after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School Imperial Order(Kokumin-Gakko-Rei) in 1941

  • 53
표지.JPG

본 연구의 목적은 1941년 국민학교령 제정 전후 시기에 일본의 지리교육에서 사용되었던 지리 교과서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절차는 우선 근대 일본 학교 교육 체제에 대한 분석을 실행하고, 다음으로 지리 교과서가 일본 학교 교육 내에서 점유했던 위치와 성격을 바탕으로 주요 분석 지리 교과서를 도출한 후, 마지막으로 지리교육 및 정치적 역할의 두 가지 관점을 바탕으로 하는 분석을 통해 일본 국정 지리 교과서의 특징을 밝혀낸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낸 국정 지리 교과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국민학교령 전후 일본의 국정 지리 교과서는 학습자에게 양질의 지리 지식을 제공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그 근거로 세계국가에 대한 최신 지리정보의 제공, 초보적 환경확대법의 정착, 통계지도 및 중첩의 활용, 지리적 인과관계 중심의 서술 등이 분석 대상 교과서에 나타난 것을 들 수 있다. 두 번째로 국민학교령 전후 일본의 국정 지리 교과서에는 식민지 관련 서술의 강조, 비난하기 위한 타자의 설정을 통해 일본의 제국주의적 관점이 반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geography textbooks used in Japanese geography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School Imperial Order in 1941. The procedure of this study firstly analyzes the Japanese school education system when geography textbooks were published, then derives major analytic geography textbooks based on their status in Japanese school education, and final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geography textbooks.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geography textbook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Japanese national geography textbooks were used as a tool to provide high-quality geographic knowledge to learners. The evidence for this is that the provision of up-to-date geographic information on world countries,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expansion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use of statistical and overlapping maps, and a description centered on geographical causal relations were observed in the geographic textbooks. Secondly, the national Japanese geography textbooks reflected the perspective of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the emphasis of colonial-related narratives and the setting of others to criticize.

Ⅰ. 서론

Ⅱ. 일본의 근대 학교 교육의 체제

Ⅲ. 양질의 지리 지식을 제공하는 도구로서의 지리 교과서

Ⅳ. 제국주의적 관점이 반영된 도구로서의 지리 교과서

Ⅴ.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