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이별을 경험한 미혼 성인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이별을 경험한 성인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별을 경험한 미혼 성인 남녀 237명을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 이별 후 성장, 자기자비 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Baron과 Kenny(1986)의 조절변인 분석절차에 따라 단계선택을 통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별 후 성장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자기자비는 이별 후 성장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별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자기자비는 낮은 수준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보다 높은 수준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불안정 성인애착과 이별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서 상담과정에서 불안정 애착수준이 높은 성인이 이별이라는 외상 사건을 경험했을 때 자기자비 수준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between adult attachment insecurity and personal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o this end, level of adult attachment insecurity, personal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and self-compassion in 237 unmarried adult men and women were assessed. Baron and Kenny’s moderating test procedure was used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tepwise selection method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correlation analysis, adult attachment insecurity was negativ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rsonal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In contrast, self-compassion was positiv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Second, This study f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insecurity and personal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effective in counseling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compassion when an adult with a high level of adult attachment insecurity experiences a traumatic event such as a romantic breakup. This research ends with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