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양 가와지볍씨’의 고고학적 접근 - 파른 손보기교수 탄신 100주년을 기리며 -

The Archeological Research Results of “Goyang Gawaji Rice” for the Commemoration of Prof. Sohn Powkee’s 100th Anniversary of Birthday

  • 19

우리나라 최초의 신도시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시작된 일산신도시문화유적 조사를 이끈 손보기 교수(단장, 한국선사문화연구소 소장, 전 연세대교수)는 일산일대에 발달된 토탄층에서 볍씨를 찾고자 1지역(한국선사문화연구소팀), 2지역(가와지,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팀), 3지역(단국대학교 박물관팀) 으로 조직하였다. 그 가운데 충북대학교 팀은 가와지 현장 (1지구)에서 볍씨를 찾고, 그 연대가 5,020년(미국 Beta연구소)으로 밝혀내어, 학계의 중요한 논제로 등장하였다. 이어서 2지구(3,000년)에서도 볍씨를 찾아 박태식박사의 노력으로 재배벼의 진화에 관한 연구업적을 학계에 보고하였다. 또한 김정희선생의 연구로 단국대팀(3지역)의 빗살무늬 토기에서 벼의 규소체를 확인하여, 보다 확실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들 자료는 충주 조동리유적(충북대 발굴)에서도 증명되어, 우리나라 벼 재배와 농경문제에 대한 분명한 자료와 근거로 제시하게 되었다. 계속하여 충북대는 청주 소로리볍씨 (15,000 ~ 17,000BP) 발견과 연구로 가와지볍씨가 소로리에서 부터 진화한 것으로 밝혀내었다. 신용하교수(서울대)는 이러한 자료와 연구위에서 좀 더 발전하여 “한강문화권”의 설정․위상을 세우는 큰 업적을 학계에 발표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30년 전 발굴된 고양 가와지볍씨 연구와 성과를 위하여 큰 격려와 배려를 아끼지 아니하신 손보기교수의 탄신 100주년을 기리고자 이 글을 봉정하고자 한다. 마침 고양시에서는 볍씨 기념탑의 준공과 “고양 가와지쌀”을 서울 롯데백화점에 출시하여, 손교수님의 탄신을 축하하는 의미로 해석되어 더욱 경하하는 바이다.

‘Goyang Gawaji Rice’ refers to rice crops found from the Gawaji site, Daehwa- dong, Ilsanseo-gu, Goyang City, Gyeonggi Province. Korea. The site was investigated by the department team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or 102 days through 2 times of excavation. The site includes 3 localities, Gawaji Loc.1, Loc.2 and Loc.3. In this paper, the writers talk about the Gawaji Locs.1 and 2, except the Loc.3 belonging to the Paleolithic age. From the cultural layer named Daehwa-ri at the Loc.1, there were excavated rice grains dated 5,020BP. It immediately suggested possibility of the Neolithic agriculture. In addition to the remains from Loc.1, the Gawaji Loc. 2 also yielded other rice grains dated 3,000~2,500BP. Consequently, the rice remains have been thought a valuable information on evolution process of rice species. In general, wild rice has bigger shattering habits. By G. B. Thompson’s theory (Thompson, 1992), it is thought that the rice contains evidence of human gathering activity with cut pedicel observed by SEM (Lee et al, 1994). Charcoal from the layer was dated 4,330±80bp (Beta-45536), that was recalibrated 5,020BP by MASCA (Lee, 1977). Heu pointed out that the Type I looks a little smaller but narrower and longer, that is longer than japonica but shorter than indica.

Ⅰ. 머리말

Ⅱ. 고양 가와지볍씨의 고고학적 접근

Ⅲ. 맺음말 - 과제와 관련하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