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밀교적 불타관의 형성과 전개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view on Buddha of Esoteric Buddhism

  • 25

밀교적 불타관의 형성과 전개는 석가모니불과 같이 역사적 존재가 아닌 초역사적인 존격을 실체화시켜가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 그래서 밀교적 불타관의 원류는 대승불교의 등장에서부터 찾을 수밖에 없다. 대승불교가 흥기하면서 다양한 경론들이 등장했고, 거기서 불타에 대한 표현방식이 다변화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화엄경』에서 설하는 삼밀과 법신사상은 초역사적인 불격의 등장을 알리는 전거 경전이 되고 있다. 이어서 시대가 흐름에 따라서 새로운 양상을 띤 밀교의 경전들이 성립되었고, 급기야 새로운 불격이 등장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석존을 대신할 수 있는 역사를 초월한 불격의 등장이다. 밀교경전에서도 초기 밀교에 해당하는 경전들에서는 초역사적인 불타의 등장보다는 기존의 세존이라는 명칭을 써서 역사성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7세기 중반 이후부터 초역사적인 불타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것은 법신이나 비로자나, 세존이라는 명칭이 아니라 대일여래나 대비로자나 라는 명칭을 가진 새로운 존격의 등장이다. 이것은 기존과는 성격을 달리하는 존격이었으며, 활동하는 불격으로 간주되었다. 역사성을 초월하여 등장한 이 불격은 새로운 방식으로 교설을 전개시켜 나아갔다. 교설은 신구의 삼밀만다라로 나타났고, 그것을 통해서 행자들은 보다 빨리 교설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받게 되었다. 신밀은 신만다라인 대만다라, 구밀은 구만다라인 법만다라, 의밀은 의만다라인 삼매야만다라를 통해서 불설을 표상화시켰다. 이것은 일반적인 불교경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획기적인 방식으로 법을 실체화시킨 것이다. 다시 말해서 대일여래라는 불격의 신구의는 신구의만다라로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나아가서 불격의 신구의를 실체화함으로써 행자가 가진 신구의와 상응시킬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할 수 있었다. 만다라에 등장하는 불격의 신구의를 존형과 종자와 삼매야형을 통해서 표현함으로써 행자는 그 불격의 신구의를 인과진언과 관을 통해서 불격의 삼밀과 상응할 수 있게 되었다. 궁극적으로 밀교의 불타관은 대승불교의 사상을 계승하여 불보살의 세계를 조직화하고, 그 구심점이 되는 존격을 인격화시켜 유상유형의 활동하는 존격공동체로 표상화시켰다. 나아가서 이와 같은 만다라적 불격 공통체의 형성으로부터 불과 행자가 일여되는 삼밀유가의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view on Buddha of Esoteric Buddhism began at the stage of substantialization of historically transcendental being like Śākyamuni Buddha, not as a historical being. Therefore the origin of the view on Buddha of Esoteric Buddhism has to be seek in the appearance of Mahāyāna Buddhism. As Mahāyāna Buddhism rose, the various Sūtras appeared. And the ways of expressions of Buddha were diversified. Among them the conception of triguhya and Dharmakāya preached in the Gaṇḑavyūha Sūtra functioned as authoritative sutra that announced the appearance of Buddha as a historically transcendental being. Following that as time passed by the Sūtras of Esoteric Buddhism with new aspects were organized, and ultimately the new status of Buddha entered. In other words the historically transcendental status of Buddha that could substitute Śākyamuni appeared. The Sūtras of early Esoteric Buddhism among those Sūtras of Esoteric Buddhism tried to overcome the status of Buddha as a historical being by using the name of already existing Buddha rather than the appearance of Buddha as a historically transcendental being. But since the middle of 7th century Buddha as a historically transcendental being appeared. It is the appearance of new noble status with the mame of Mahāvairocana not with the mame of Dharmakāya or Vairocana or Bhagavat. These names were the noble name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already existing ones and was considered as acting status of Buddha. This status that rose above the history developed religious teaching in a new manner. The religious teaching was realized in kāya-vāc-citta-triguhya-maṇḑala. And through them the ascetics were provided with the faster way to access to the religious teaching. kāya-guhya symbolized the Buddhist teaching through mahā-maṇḑala which is kāya-maṇḑala. vāc-guhya symbolized the Buddhist teaching through dharama-maṇḑala which is vāc-maṇḑala. citta-maṇḑala symbolized the Buddhist teaching through samaya-maṇḑala which is citta-maṇḑala. And these were realization of the religious teaching in a whole new manner which couldn't be seen in the ordinary sutras of Buddhism. In other words this was the realization that kāya-vac-citta of the status of Buddha which was Mahāvairocana could be symbolized in kāyavac- citta-maṇḑala. Moreover, by realization of kāya-vāc-citta of the status of Buddha, the way that it could be corresponded to kāya-vāc-citta which ascetics had could be presented. By expressing kāya-vac-citta of the status of Buddha which appeared in maṇḑala through Shape, Letter and Symbol the ascetics could correspond kāya-vāc-citta of the status of Buddha to triguhya of the status of Buddha through Mudrā, Mantra and Bhāvanā. Ultimately the view on Buddha of Esoteric Buddhism inherited the conception of Mahayana Buddhism and organized the world of Buddha and Bodhisattva and symbolized into the functioning concrete and visible noble community by impersonating the noble status of Buddha which was the core of it. By formation of this Buddhistic community of maṇḑala the process of triguhya-yoga that Buddha the and ascetics were changed into one was presented.

Ⅰ. 머리말

Ⅱ. 밀교적 불타관의 전개양상

Ⅲ. 만다라적 밀교 불타관의 확립

Ⅳ. 맺는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