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불교 고고학의 연구방법 시론

A Study on Methodology of Archeology of Buddhism

  • 53

‘‘佛敎考古學’ 불교유적이나 유구에 대한 현상을 밝히기 위한 고고학 방법의 하나라는 의미로 함축될 수 있다. 학문적 범주로는 역사고고학 중에 ‘종교고고학’ 영역이며 종교고고학에서 ‘불교’와 관련된 제 유적이나 현상에 대한 고고학적인 조사와 해석방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많은 불교유적의 조사성과에 비해 학문으로서의 불교고고학은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본 발표문은 이러한 문제점에서 출발하여 이웃한 국가들의 학문적 성과들을 참조로 하여 불교고고학의 정의를 설정해보고 연구방법론을 설정해 본 것이다. 이에, 우선 불교고고학의 정의를 불교역사를 고고학적으로 규명하는 작업으로 전제하고, 이를 위해서는 조사된 성과를 왕조역사에서 한단계 나아가 불교역사로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연구영역을 공간성, 시간성으로 구분하여 불교고고학의 제 특징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유의점을 정리하였다. 또한. 학문으로서의 불교고고학을 완성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설정해 보았다. 1. 조사방법으로 문헌과 고고자료를 결합한 유적별 조사연표가 마련되어야 조사결과에 따른 편년과 유구의 주요성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시론이다. 2. 불교유적 조사 방법상 유의할 점으로는 문화적 의미를 통해 유적과 유구의 중복성과 당위성을 해결해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중심신앙대상이 변화하거나 공간이 확대 축소됨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을 고고학으로 어떻게 규명할 것인가 등에 대한 시론을 설정해 보았다. 3. 아울러 출토되는 유물의 기준과 정리방법을 기와를 기준으로 타날판 복원의 방법이라는 시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불교유적의 시간적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고고자료는 기와라 생각되며, 자기류에 비해 비교적 안전한 유물이지만 출토양이 방대하므로 어떻게 효율적으로 정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시론적으로 제시하여 보았다. 그리고 별도의 장으로 구분하여 문화적 해석을 위한 방법으로 불교사상과 교리의 내용과 유적의 현상을 해석하는 연구방법을 몇 가지 사례로 시론하여 보았다. 유적에서 드러나는 현상에서 한발 더 나아가, 불교고고학의 범주전체를 고려한다면 불교용구에 해당되는 것도 모두 문화적 해석을 위한 텍스트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도 제안형태로 제시해 보았다. 이 발표문은 학문으로서의 불교고고학을 정립하기 연구방법의 시론적 내용인 만큼 많은 보완과 협동연구가 필요함도 부연해 둔다.

The term of ‘Archeology of Buddhism’ in dictionaries means as a type of methodology that explores the remains of Buddhism. In professional academia, it can also be a part of ‘religion of Buddhism’, where the term can be defined as an archeological methodology to study and research the remains or circumstances of Buddhism. Compared to the existing researches of remains of Buddhism, ‘Archeology of Buddhism’ is still unstable as an academic term. Considering this problem, the paper purports to define the academic term of ‘Archeology of Buddhism’ and to explore methods to research it. The research has employed the studies in other Asian countries as well as those in our own country. First of all, the research suggested that ‘Archeology of Buddhism’ should be a process of examining history of Buddhism, which still demands further studies. It requires deliberation if the results of research could be interpreted as history of Buddhism beyond history of dynasties. The research divided the dimension into two parts, time and spac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critical points from the two perspectives. I also suggested the following points in methodology in order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rcheology of Buddhism’ as an academic arena: 1) A chronological chart including literature and archeological data should be required for significant results; 2) The problems, such as overlapping remains in a geographical meaning, would be checked byexploring cultural meanings. This paper proposed the way to specify the transitional situations as a religious belief or a space involved changed; and 3) The criteria and methods of classification of relics can be created by explaining q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Tanalpan in study of roof tiles. Roof tiles would indicate the chronological orders of archeological remains in a best way, since they are more stable and the amount of them are bigger than porcelains, which have always demanded more efforts and studies to classify and arrange in an efficient way. 4) In a separate chapter, a few case studies of methodology were examined to interpret philosophy and thoughts of Buddhism to understand its cultural meaning. In terms of the comprehensive scope of ‘Archeology of Buddhism’beyond the situations that the relics are telling, Buddhism instruments could also demand further text developments for cultural understanding. This study is an introductory one, which may require more and further researches and cooperative inquiries.

Ⅰ. 머리말

Ⅱ. 불교고고학 대상의 특성과 연구방법 시론

Ⅲ. 고고자료의 문화적 해석을 위한 연구방법 시론

Ⅳ.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