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발굴조사연표를 통해 본 국내 불교유적 조사 현황

The Situation of Investigations on the Buddhist Site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Chronological Tables of Excavation

  • 34

이 글에서는 2013년까지 발굴조사된 불교유적에 대한 현황을 연표로 정리해 조사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국내 불교유적에 대한 특히 폐사지를 포함한 사찰의 기본 현황조사는 실시되었으나 발굴조사가 진행된 경우는 드문 것을 확인하였다. 시기별로 조사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국내에서 진행된 발굴조사 중 약 4%만이 불교유적에 대한 조사였다. 불교유적 중 익산 미륵사지, 경주 황룡사지 등 고도지역의 사지에 대한 조사는 문화재청이 주축이 되어 진행되었으며 소규모 또는 단발성 발굴조사는 비영리법인에 의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고대 사찰의 조영은 국가가 주도한 국책사업이었고, 이에 대한 발굴조사는 철저한 계획과 예산, 투입 인원 등이 보장되어야 진행할 수 있는 대규모 조사·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조사된 불교유적 중 철저한 계획을 바탕으로 연차적으로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경주와 부여를 제외하고는 사지에 대한 조사는 체계적이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불교유적 조사의 계획 수립 단계부터 구체적인 조사방법론, 철저한 기록에 의한 조사 그리고 조사된 자료의 정리가 정교하게 진행될 때 불교고고학이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investigation tendency of the Buddhist sites excavated by 2013 as arranged them chronologically. This study reveals that the basic survey on the Buddhist sites including ruined temples have been extensively conducted, but few of them have been excavated. Although the numbers of excavated Buddhist sites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the ratio of excavated Buddhist sites is only 4 per cent of the total excavations.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onducted excavations of temples located at the ancient capitals such as Mireuksa Temple in Iksan, and Hwangryongsa Temple in Gyeongju; and the non-commercial institutions carried out small scale or one-time excavations. The constructions of temples were the national projects; therefore excavations of them should be large scale investigations based on thorough plans, large budgets, and many researchers. Except temples at Buyeo and Gyeongju that have been excavated on the basis of thorough plans, however, investigations of temples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conducted. Archaeology of Buddhism will be progressed when excavations of them will be based on accurate survey methodology when researchers establish plan, meticulous records, and accurate organisation of investigated data.

Ⅰ. 머리말

Ⅱ. 발굴조사연표

Ⅲ. 조사현황 분석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