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1970년대 法頂의 사회민주화 운동 考察

Investigation into Ven. Beop-Jeong’s Social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70s: Focused on the Manuscripts Published in “Voice of the People”

DOI : 10.33521/jbs.2021.13.1.41
  • 14

본 논문은 우리시대에 함께 살았던 법정스님(法頂, 1932-2010)의 1970년대 사회민주화 운동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법정은 전라남도 해남의 바닷가에서 태어나 중학교 시절부터 목포로 유학을 와 전남대학교 상과대학을 다니다 출가한다. 전직 판사 출신으로 당대의 고승이었던 효봉스님을 은사로 통영 미래사에 출가한 법정은 쌍계사와 선운사 등을 거쳐 경남 합천해인사에서 팔만대장경을 섭렵한다. 법정은 해인사에서 어느 여자신도가 팔만대장경을 ‘빨래판’으로 보는 것을 보고 크게 깨달음을 얻어 수많은 한문경전을 한글로 옮기겠다고 다짐한다. 해인사에서 수많은 경전을 공부한 법정은 그곳에서 민주인사인 서울대 황산덕 교수, 장준하 선생, 함석헌 목사 등의 가르침을 들으며 사회민주화에 관심을 갖는다. 한글로 된 불교사전 편찬사업에 뛰어든 법정은 통도사에서 운허스님을 도와 『불교사전』을 만든다. 그 인연을 이어 서울로 올라와 동국대학교가 설립한 동국역경원의 역경위원이 되어 한문불경의 한글화에 앞장선다. 이 과정에서 <불교신문>(당시 대한불교)에 글을 실으며 불교계를 대표하는 지식인사로 이름을 올린다. 다양한 글쓰기를 하며 저술활동을 한 법정은 1970년에 접어들면서 당시 진보매체로 민주화를 주도했던 잡지 <씨알의 소리>에 기고를 한다. 1972년 첫 원고를 시작으로 법정은 불교를 알리는 한편 사회민주화에 대한 다양한 글을 게재해 유신독재 아래에서 고통받는 민중의 아픔을 세상에 알리기 시작한다. 이는 1970년대 사회민주화 운동사에서 불교계의 활동이 거의 보이지 않았던 시기에 불교계 인사였던 스님의 활동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법정은 칼럼과 토론 시 총 16편의 글을 <씨알의 소리>에 게재하며 불교의 가르침을 전하기도 했다. 아울러 불교의 가르침에 입각해 사회민주화가 어떻게 이루어져 하는 지를 주장하기도 했다. 특히 1972년 10월 유신헌법의 공포되면서 독재정권에 대한 저항하는 시(詩)를 게재해 반향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런 활동으로 법정은 정권으로부터 감시와 탄압을 받았으며 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기도 했다. 탄압의 수위가 높아지는 가운데 제2인혁당 사건으로 젊은이들이 희생됨을 보고 충격을 받은 법정은 수행자의 본래자리로 돌아 가기 위해 1975년 송광사 불일암으로 은거(隱居)한다. 그곳에서도 법정은 다양한 저술활동을 통해 불교의 가르침을 전하는 한편 사회민주화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러한 법정의 활동에 대한 연구가 활기차게 이루어져 불교계의 사회민주화 운동사가 재정립되길 희망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democratization movement of the 1970s of Buddhist Ven. Beop-jeong (1932-2010) who lived together in our era. He was born on the beach in Haenam, Jeollanam-do Province, studied in Mokpo since the days of middle school, attended College of Commer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became a Buddhist monk. Serving as a teacher Ven. Hyobong who was a former judge and high priest of the time and who became a monk in Miraesa Temple located in Tongyoung, Beop-jeong extensively read the Tripitaka Koreana at Haeinsa Temple in Hapcheon, Gyeongsangnam-do Province through Ssanggyesa Temple and Seonunsa Temple. At Haeinsa Temple, he greatly realized that a female believer saw the Tripitaka Koreana as a “laundry board” and pledged to translate numerous Chinese Buddhist scriptures into Hangeul. He who studied numerous Buddhist scriptures at Haeinsa Temple took a keen interest in social democratization by listening to the teachings of democratic figures such as professor Hwang San-Deok, Jang Joon-Ha, and minister Ham Seok-Heon. He, who launched into the Korean Buddhist dictionary compilation project, helped Ven. Un-heo to create “The Dictionary of Buddhism” at Tongdosa Temple. After that, he came to Seoul to become a translation member of Dongguk Buddhist Scripture Translation Institute established by Dongguk University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Korean alphabetization process of Chinese Buddhist scriptures. In this process, he contributed his writings in the Buddhist Newspaper (Korean Buddhism at the time) and became an intellectual figure representing the Buddhist world. He, who worked on various writing and engaged in writing activities, contributed to “Voice of the People”, a magazine that led democratization as a progressive medium at the time in 1970. Starting with the first manuscript in 1972, he promoted Buddhism to people on the one hand and began to inform the world of the pain of the people suffering under the Yushin dictatorship by publishing various articles on social democratization on the other. It is noteworthy that it was his activity as a Buddhist monk, the figure of Buddhism, when the Buddhist circles seldom engaged in activities in the history of the social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70s. He published a total of 16 articles such as columns and discussion poems on “Voice of the People” to convey Buddhist teachings, and also insisted on how social democratization should be achieved based on Buddhist teachings. In particular, with the promulgation of the Yushin Constitution in October 1972, he published poems offering resistance to the dictatorial regime, causing repercussions. These activities were monitored and suppressed by the government, and he got a lot of activities restricted. Shocked to see that young people were sacrificed by the Second Inhyukdang Incident amid rising levels of oppression, he retired to Songgwangsa Buliam(Bulilam Hermitage in Songgwangsa Temple) in 1975 to return to the original truth before the practice. He also conveyed Buddhist teachings through various writing activities there as well on the one hand and engaged in the voices of social democratization. I hope that the research of these Beop-jeong’s activities will be actively conducted and the history of social democratization movements in the Buddhist community will be re-established.

Ⅰ. 서론

Ⅱ. 1970년대 초기 글들

Ⅲ. 1970년대 중 ․ 후기 글들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