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동 ․ 서양 종교적 자연관에 내재된 긍정적 정서의 명상 공간

Meditation Space of Positive Emotions Inherent in the Natural View of Eastern and Western Religion

DOI : 10.33521/jbs.2021.13.1.154
  • 50

명상행위가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데 반해, 그 공간을 제시하는 연구는 미미하다. 이를 위해 명상에 들 수 있는 초입공간의 개념 정립이 필요하며, 그 환경에 접근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선행되어온 동․서양의 종교적 자연관을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명상 행위를 위한 공간적 접근으로서, 동․서양의 종교적 자연관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긍정적 정서가 생성되는 명상 초입공간의 개념적 가치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명상에 들어갈 환경을 동․서양의 종교에 나타난 자연관에 관련성을 두어, 동아시아 전통건축물과 서구의 전통건축물을 대상으로 해석, 긍정적 정서로 생성되는 공간을 통해 명상의 초입에 들어갈 환경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동․서양의 종교적 자연관을 논의하여 긍정적 정서가 생성되는 명상 초입공간을 이루는 공간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시아 유․불․선의 자연관을 배경으로 한 명상공간은 근본적으로 마음을 비워 자연과 연속되어 하나 된다는 점에서 허공이나 비움을 우선으로 한다. 이는 물질적 세계를 비워내는 공간으로, 자연과 연속성을 이루는 효용적 가치로 긍정적 정서에 접근될 수 있다. 둘째, 서구 기독교의 자연관을 배경으로 한 명상공간은 근본적으로 물질을 위계적으로 활용하는 공간이다. 이는 물질적 세계를 중심으로 표현되는 공간으로, 노출된 자연환경에서 신에 의해 보호되는 내밀함의 가치로 긍정적 정서에 접근될 수 있다. 따라서 동․서양 종교적 자연관에 긍정적 정서가 내재된 명상초입공간은 과거의 종교적 사회성을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사상적 가치로 공간을 변환시켜 적용해야 할 과제이다.

Today, various forms of meditation and related behaviors are spreading socially. On the other hand, research surrounding the space of meditation is in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entry space' as a spatial concept entering the space of meditation and the perspectives related to the perception surrounding the space. To this end, a review of the traditional view of nature from the religious point of view of the East and West is also reques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ay attention to the step-by-step approach in space for meditation behavior. We will look a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in the religious natural view of the East and West, and look at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meaning of the entrance space for meditation. In particular, we tried to discuss the environmental meaning of the entrance space that generates positive emotions at the entrance of meditation. To this end, attention was paid to differences in religious perspectives between the East and West, which reveal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for meditation. Based on this basis, interpretation was attempted in preparation for traditional East Asian and Western buildings. In this study, the spatial meaning created in the entrance space for meditation by differences in natural views from religious perspectives in the East and West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the meditation space set in the natural view of East Asian traditional thought, the empty mind is fundamentally emptied and the empty space is prioritized in that it becomes one with nature. This is a spatial perception to empty the material world, and to give more positive and emotional value to achieving continuity with nature. Second, in the meditation space set in the natural view of Western Christianity, a space that hierarchically utilizes the material world is given priority. This is a space expressed around the material world, pursuing the value of sticking out while being protected by God in an exposed natural environment, and approaching positive emotions. In the spac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religious nature and sociality of the era are basically reflected. As discussed above, discussions on the space for meditation entry are common in trying to elicit positive emotional values regardless of East or West. This has a social and ideological meaning that can be sufficiently utilized in the spatial perception of modern society and has practical value to apply.

Ⅰ. 들어가면서

Ⅱ. 동 ․ 서양 종교적 명상의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Ⅲ. 동 ․ 서양의 자연관과 긍정적 정서

Ⅳ. 동 ․ 서양의 종교적 자연관에 나타난 명상 공간

Ⅴ. 나가면서: 현대사회에 반영할 명상 공간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