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작업수행코칭모델(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model)에 근거한 작업치료 중재 효과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Based o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Model

  • 194
표지.JPG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 고찰을 통해 작업수행 코칭 모델에 근거한 작업치료 중재 기법과 효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서 작업치료 임상 적용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Pubmed, Wiley Online Library, ScienceDirect, Google scolar를 검색엔진으로 사용하였으며,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Occupational Therapy”를 키워드로 사용하였다. 검색결과 총 4,408개가 추출되었고 기준에 따라 10개의 논문이 선정하여 분석 및 고찰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문헌에서 OPC의 중재는 치료사와 클라이언트, 가족간의 신뢰도 향상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COPM으로 중재 전후의 수행도와 만족도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와 가족들에게 체계화되고 개별화된 코칭을 제공하는 것은 일상에서 상당히 유용성 있게 활용될 수 있으며 대상자들의 일상생활에서 더 큰 만족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결론: OPC의 사용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수행의 질 향상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보호자의 삶의 질, 치료사와의 관계 개선에도 효과가 있었다. 또한 작업기반의 가족 중심적 중재로서 클라이언트 중심의 코칭 기술이 작업치료 임상 현장에서도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clinical appli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by examining the literature review o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techniques and effects based o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model. Methods: Pubmed, Wiley Online Library, ScienceDirect, and Google scolar were used as search engines,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Coaching”, and “Occupational Therapy” were used as keywords. As a result of the search, a total of 4,408 articles were extracted, and 10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nd reviewed according to the criteria. Results: In most literatures, OPC interventio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liability improvement between therapist, client, and family, and showed a significant effect when comparing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using COPM. Therefore, providing systematic and individualized coaching to clients and their families can be very useful in daily life,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greater satisfaction in the daily life of the subjects. Conclusion: The use of OPC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performance through various studies, and it was also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caregiver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s an occuptioanl-based family-centered intervention, client-centered coaching skills are needed in the clinical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