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영재와 미술학습부진 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Intelligences of Students with Art Underachievement: Comparison of Multiple Intelligenc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Art and Art Underachievement Students
본 연구는 미술학습부진 학생 집단의 다중지능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미술학습부진 학생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6학년 196명을 대상으로 Gardner의 다중지능(Mutiple Intelligence)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미술 교과 수행평가 결과와 미술표현능력검사를 통해 선발된 12명의 표현 영역 미술학습부진 학생 집단의 다중지능 검사 결과를 일반학생 집단 및 미술영재 집단의 다중지능 검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술학습부진 학생 집단의 다중지능은 모든 유형에서 ‘보통’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지능이 가장 낮은 순위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지능이 가장 높은 순위의 지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영재의 다중지능 특성과 대비되는데, 미술영재의 경우 공간지능이 가장 높은 순위를 보이며 대인관 계지능이 가장 낮은 순위이다. 연구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학습부진의 개념에서 학습부진이 기본적인 잠재능력을 갖추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이 다중지능의 측면에서 증명되었다. 둘째, 미술영재 집단과 미술학습부진 집단의 다중지능의 수준을 비교해보았을 때, 공간지능의 미술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셋째, 공간지능을 구조 측면에서 분석하여 초등학생의 미술 발달을 고려한 효과적인 미술학습부진 극복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re systematically understand students with art underachievement by analyz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characteristics of a group of students with art underachievement.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est was conducted on 196 students in grades 3-6 of Elementary School. Among them, a group of 12 students with art underachievement was selected through the art subject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and art expression ability test. The multi-intelligence characteristics of the art underachievement student group, the general student group, and the art gifted group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the student group with art underachievement were ‘normal’ in all types. Spatial intelligence was ranked the lowest,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was the highest. These results contrast with the multi-intelligence characteristics of the art gifted, and in the case of the art gifted, spatial intelligence ranks highest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ranks lowes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oncept of art underachievement student, it has been proven in terms of multiple intelligences that art underahcievement targets students with basic potential. Second, when comparing the level of multiple intelligences of the art gifted group and the art underachievement group, it can be inferred that it directly affects the art ability of spatial intelligence. Third, by analyzing spatial intelligence in terms of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pare an effective plan for overcoming the art achiev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art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서론
Ⅱ. 미술학습부진과 다중지능이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