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시문 기반 예술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진행한 연구(김수진, 2022)의 후속 연구로서, 초등 예비 교사를 위한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실행 연구이다. 초등 예비 교사들은 미술만을 전공으로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현대/동시대 미술에 대해 생소하게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초등 교육과정에서 현대/동시대 미술에 대해 다루는 것은 시대적 흐름이며 따라서 구체적인 교수법에 대해서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미술교육 관련 필수 교과목을 수강하는 초등 예비 교사인 대학교 3학년 연구 참여자들과 함께 현대/동시대 미술 작업들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시문을 생성하고 수행하는 흐름의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성찰지를 수집하여 주제를 중심으로 질적 분석한 결과, 초등 예비 교사들은 미술 수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형성하고, 지시문 생성과 수행을 통해 현대/동시대 미술에 대한 이해를 도모했으며, 현대/동시대 미술 교수법에 대한 역량 강화를 추구했다. 실행 연구의 순환적 과정에 기초하여 연구자 또한 프로그램의 결과를 성찰하고 재계획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is a follow-up study of a study (Kim, 2022) that conducted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instruction-based ar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ay feel unfamiliar with contemporary art because they do not specialize only in art education. However, the discussion of contemporary art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is moving from whether it is necessary to what the specific teaching methods are. Thus, in this study, I conducted an action research study with 2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lored contemporary artworks, created instructions, and carried them out. I collected reflection portfolios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m utilizing a theme-based approach. As a result, the preservice teachers formed new perspectives on art lessons,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by doing, and strengthened their competencies in art pedagogy. The researcher also reflected on the process.
I. 서론
Ⅱ.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Ⅲ.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Ⅳ. 지시문 기반 예술 교육 프로그램의 미술 교육적 의의
V. 결론 및 실행 연구의 재계획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