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 탐색

Exploring Liberal Arts Educational Meanings and Application Possibilities of Ink Wash Painting Experiences of Creation Based on the Theory of Yuyi(寓意)

  • 18

문인화의 우의(寓意)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자화상을 주제로 수업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자신의 얼굴을 사생(寫生)을 통해 형상을 드러내되 닮음에 그치지 않고 이치를 파악하 도록 하였으며, 다음으로 사의(寫意)를 통해 생각과 느낌을 담고 관점을 세워 자신을 성찰하고 정체성에 대해 생각해 볼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얻을 수 있었던 자신의 모습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는 기억의 표현으로 자신에게 의미 있는 공간과 상황 등을 통해 과거의 기억 가운데에서 잊고 있었던 자신을 발견하였다. 둘째는 마음의 표현으로 자신이 느끼는 생각과 감정을 다양한 수묵 기법으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드러내었다. 이러한 우의론에 기반한 수묵화 창작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주관적으로 성찰하며, 시각 언어를 통해 타인과 소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을 인식하고, 강화하고, 확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인화의 정신을 담은 수묵 창작 경험의 교양 교육적 의의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related class to explore the meaning and its applicability of su-muk painting classes based on Yuyi(寓意)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First, students drew shapes not only for the similarity, but also for perceiving its principle. Secondly, students deposited their thoughts and experiences into the images considering their identities. The self-image that the students were able to draw in these classes revealed in two ways. Firstly, the expression of memory. They found themselves in the memories of the past through drawing their meaningful spaces and times. Secondly, the expression of their mind. They revealed themselves by unravel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with various ink wash techniques. Through the drawing, students were able to review themselves objectively and subjectively, communicating with viewers through various visual language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meaning of the su-muk painting for students to recognize, strengthen and expand themselves.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우의론

Ⅲ. 우의론에 기반한 자화상 창작 수업의 의의

Ⅳ. 우의론에 기반한 수묵 자화상 창작 수업의 사례

V.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