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도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Evaluation Tool for Mental Disorders

DOI : 10.22683/tsnr.2022.11.4.041
  • 100

목적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평가도구를 확인하고 분석함으로써 작업치료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도구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문헌 검색은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내용은 개발연도, 평가방식, 문항수, 척도,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평가 항목을 기능,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의 4가지범주로 구분하여 각 평가도구의 평가 요소에 대해 파악하였다. 결과 : 검색어를 통한 Pubmed 검색 시 161개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선정 방법에 따라 Griffiths Work Behavior Scale (GWBS), Occupational Functioning Scale (OFS),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Assessment Scale (SOFAS), Work Ability Index (WAI), Work Behaviour Inventory (WBI), Work Environment Impact Scale (WEIS), Work and Social Adjustment Scale (WSAS)의 7개 평가도구가 선별되었다. 모든 평가도구의 평가항목은 직무와 관련된 기능평가를 포함하였으며, 각 평가도구의 목적에따라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직업 기술은 신체, 인지, 사회기술, 대처능력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기능, 내적요인, 환경, 정신증상의 4가지 요소가 포함될 필요가 있으며, 평가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제약을 보완하기 위해 ICT 융합 평가도구의 개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evaluation tool for the mentally disabled. Methods : For literature search, the Pubmed database was used, and for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year, evaluation method, number of items, scale, and evaluation items were analyzed. In the analysis method, each evaluation item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unction, internal factor, environment, and mental symptom, and the evaluation elements of each evaluation tool were identified. Results : When searching Pubmed through search terms, 161 documents were retriev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method, Griffiths Work Behavior Scale (GWBS), Occupational Functioning Scale (OFS),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Assessment Scale (SOFAS), Work Ability Index (WAI), Work Behavior Inventory (WBI), Work Environment Impact Scale (WEIS), and Work and Social Adjustment Scale (WSAS) were screened. The evaluation items of all evaluation tools included job-related functiona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evaluation tool, internal factors, environment, and mental symptoms were measured. Conclusion : Occupational skills are skills in which various functions such as physical, cognitive, social skills, and coping skills act in a complex w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four factors analyzed in this study: function, internal factors, environment, and psychiatric symptom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