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 미술치료 대학원 석, 박사 교과과정 현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um and Perception of the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Art Therapy Graduate Schools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미술치료 전공 대학원 교과과정의 현황을 조사하여 미술치료학의 정체성 형성과 미술치료사 교육 및 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 미술치료 석/박사과정이 개설된 대학을 중심으로 석사 수료생 및 졸업생, 박사 재학생, 수료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22년 2월 26일부터 3월 10일까지 네이버 폼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석사용 설문 143부, 박사용 설문 77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 응답자의 기본적 인적사항, 미술치료 교과과정, 교과 운영 환경 및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 전공 대학원이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 등으로 다양하게 개설되어 이수학점의 기준이 상이하였다. 미술치료 교과과정에 대해 응답자들은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는데, 교재, 교수자의 수업 진행, 교과목 항목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졸업 후 수강을 원하는 과목에서 박사과정 응답자는 치료사의 자기돌봄과 자기분석 과목을 중시하였고, 석사과정 응답자는 발달재활서비스 관련 과목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교과목에 대한 기초연구가 학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for art therapy major in Korea, and to use it as a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art therapy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the graduate program of both art therapy master's and doctoral studies in Korea. From February 26 to March 10, 2022, a Naver Form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survey, and data both from 143 at the master’s level and 77 at the doctoral level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questionnaire based on respondents' personal information, art therapy curriculum,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ursework satisfaction are as follows. The graduate art therapy programs in Korea were established in different formats, such as general graduate school,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and specialized graduate school, based on the coursework requirements. The results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art therapy curriculum in terms of the textbooks, the instructor’s class progress, and the curriculum of the studies. Regarding the coursework preference of the respondent who wanted to take it after graduation, the doctoral level emphasized the therapists’ self-care and psychoanalysis of self-related subjects. The master’s level presented high demands on developmentalrehabilitation service-related coursework. Based on these results, the effects on art therapy coursework research in graduate studies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