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장애 독립영화 감독의 스튜디오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김지혜(Kim, Ji-Hye) 전순영(Chun, Soon-Young)
- 한국미술치료학회
- 미술치료연구
- 제29권 제6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12
- 1573 - 1600 (28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장애가 있는 독립영화 감독이 스튜디오 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경험을 했으며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울장애로 진단받은 연구 참여자와 2021년 9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추후 상담을 포함하여 90분씩 총 20회기의 미술치료를 진행했다. 전 회기의 녹음파일, 축어록, 회기별 작품, 꿈, 투사검사 결과와 연구자의 임상일지를 자료로 포함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경험을 재구성했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우울장애 독립영화 감독의 스튜디오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에 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튜디오 미술치료를 통해 연구 참여자에게 창조적인 작업에의 몰입과 동기부여가 이루어졌다. 둘째, 스튜디오 미술치료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는 관계의 개선을 경험하였다. 셋째, 스튜디오 미술치료 작업을 통해 연구 참여자는 성취감과 정서적 안정감을 느꼈다. 넷째, 스튜디오 미술치료는 연구자의 역량과 경험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연구자는 역량 강화와 자기 탐구의 중요성을 성찰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 what ways an independent film director suffered depressive disorder experienced studio art therapy and the meanings of the therapeutic experience. For this purpose, 20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or 90 minutes in each session from September 2021 to June 2022, including follow-up consultation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 diagnosed depressive disorder. The experience was reconstructed through narrative inquiries, including the record of all sessions, verbatim records, artworks, dreams, Rorschach ink-blot test results, and the researcher's clinical journals. Through this study, this article presents the following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n the studio art therapy experience by the independent film director. First, in the studio art therapy, the research participant could immerse in creative work and motivated. Second, during the studio art therapy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 experienced relationship improvement. Third, the research participant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emotional stability during the studio art therapy. Finally, the therapy was affected by the researcher's competency and experience, and the researcher reflected the importance of Empowerment and self-exploration. Based on these cont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