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 음악교육을 위한 실기형 동영상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deo Contents for School Music Education

DOI : 10.15815/kjcaes.2022.17.5.153
  • 45

이 연구는 사회적 상황 변화에 따른 학교 음악 교과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 전환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음악 교과 내용 중심’ 동영상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학교 상황에서 지속적 활용이 가능한 콘텐츠 개발을 위하여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각 음악 활동 영역을 구분하고, 각 활동의 주요 음악 기초 및 필수 학습 내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학습 내용을 기반으로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핵심 학습 기초 내용을 선별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학습 주제들을 선정하였다. 최종 동영상 콘텐츠 개발은 가창ㆍ기악ㆍ창작ㆍ감상ㆍ생활화/다문화 등 5개의 활동 영역과 총 120개의 주제 과정 중심 동영상 콘텐츠로 제작되었다. 음악수업 활동의 종류, 학습 유형, 음악 활동 과정에 따른 음악 동영상 콘텐츠는 학습의 효과와 수업 적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5분~7분 정도의 단시간 콘텐츠로 제작되었다. 4차 산업 중심의 다양화 교육의 흐름 속에서 이 연구에서 개발된 음악 실기형 동영상 콘텐츠가 새로운 교육정책과 학교 교육의 변화에 따라 유연성 높은 주요 학습 자료로 적극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music subject oriented video contents that can minimize the negative impact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 conversion of school music subjects due to changes in social situations. In order to develop contents that can be continuously used in various school situations, the current music curriculum was analyzed to distinguish each music activity area, and the main music basics and essential learning contents of each activity were extracted. Based on the extracted learning contents, the learning topics of the video contents were selected by choosing the core learning essential contents that can be implemented. The final video contents development was produced with five activity areas: singing, instrumental music, music creation, music appreciation, music utilization/multiculture, and 120 subjects of process-oriented video contents. Music video cont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music class activity, learning type, and music activity process were produced in a short time of 5 to 7 minutes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learning and the efficiency of the class application. In the trend of diversification education centered on the fourth industry, it is expected that the music and valuable video content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ctively used as significant learning material with high flexibility following new educational policies and changes in school education.

Ⅰ. 서론

Ⅱ. 콘텐츠 개발의 기초 분석

Ⅲ. 콘텐츠 개발의 구성

Ⅳ. 콘텐츠 개발의 실제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