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폭력피해 이주여성 사례관리 개선방안 연구

사례관리자의 지원경험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폭력피해 이주여성 사례관리자의 지원경험 탐색을 통해 폭력피해 이주여성 사례관리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폭력피해 이주여성 지원기관에서 사례관리(지원)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 10명이며,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방법을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사례관리자들은 대상자의 복합성, 즉 이주 및 폭력피해에 따른 특성으로 인해 대상자들을 지원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사례관리자들은 부족한 자원과 사례관리 체계 부재로 인해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셋째, 사례관리자들은 분절적으로 작동되는 네트워크와 파편화된 정책으로 인해 적극적인 역할 수행에 고충을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이러한 한계에 대응하기 위해 사례관리자들은 개인적⋅조직적 차원에서 나름의 노력을 시도하고 있었다. 다섯째, 사례관리자들은 폭력피해 이주여성 사례관리 개선방안으로 기관 및 정책 차원에서의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통⋅번역 전문인력 확충, 사례관리 체계 수립, 사례관리자의 정보 접근권 확보, 사례관리자 전문성 향상, 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및 강화, 제도적⋅정책적 개선을 위한 노력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ind how to improve case management for migrant women who were victims of violence, by examining the support experiences of their case managers.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using the method, an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0 case managers who oversaw case management (support) at a supporting organization for migrant women who were victims of violence. First, the study found that case managers had difficulties in providing support due to the victims’ complexities. Second, case managers felt limitations in terms of insufficient resources at the institution and the absence of a case management system. Third, case managers did not proceed with active case management due to segmented networks and fragmented policies. Fourth, they were making efforts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to respond to these limitations. Fifth, case managers suggested multilateral responses and efforts at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levels to improve these limit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establishing a case management system, expanding support for language (interpretation), strengthening the expertise of case managers, reinforcing inter-agency cooperation systems, and improving policy and systems.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