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가정위탁 사례관리와 아동발달 간의 관계 : 서비스제공일지에 대한 빅데이터분석의 활용

Foster Care Case Management and Child developmental Outcomes: Big Data Analysis for Case Management Records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위탁 사례관리의 현황과 그 성과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위하여 이전에 분석된 적이 없었던 가정위탁 사례관리기록의 내용을 분석하고 위탁아동, 위탁부모, 친부모에게 제공된 서비스의 양과 아동 발달성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9 가정위탁패널 1-2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261명 아동에 대한 10개월 간의사례관리 기록(서비스제공일지)과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된 그들의 발달성과를 분석하였다. 서비스제공일지 내용 분석을 위해서는 빅데이터 분석방법 중 키워드 빈도분석, 토픽모델링 분석등을 활용하였으며 서비스 제공 양과 아동 발달성과 간의 관계는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서비스제공일지 분석 결과, 우선 위탁유형 별로 제공된 서비스 종류에 있어 큰 차이가없음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분석 및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여성 양육자에 대한 키워드와 토픽이주되게 드러나 가정위탁의 주양육자는 여성이라고 인식된다는 점과 가정위탁 사례관리 기록이아동 중심보다는 양육자 중심으로 기술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위탁의 경우친족위탁에서 나타나지 않던 ‘친가정서비스’, ‘자조모임’, ‘공적자원연계’ 등이 제공일지의 토픽으로 등장하였다. 각 서비스 종류의 양이 아동발달에 미친 영향을 보면, 전화상담이 많이 제공될수록 자아존중감, 우울·불안, 위축, 공격성에, 자립지원서비스는 위축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위탁 사례관리 개선 및 사례관리 기록 체계 개선방안에대하여 논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atus of foster care case manage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se management and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case management records of ten months of 261 foster car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wave survey of the 2019 foster care panel. In addition, the study merged data pertaining to the service provisions and survey results which measured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Results: As big data analysis, we used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method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provision amounts and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a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utilized. The results of the big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foster care. Secondly, case management records showed that the main caregivers for children were women regardless of the type of foster care. Thirdly, the results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family home service’, ‘self-help groups’, and ‘links to public services’ were the main topics in terms of services provided only in non-kinship foster care groups.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hen more ‘telephone counseling’ and ‘services for independent living’ were provided, better outcomes in children's self-esteem, depression/anxiety,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could be expect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mprove foster care case managemen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