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rkpatrick 모형을 활용한 중장년층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 개발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lifelo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Kirkpatrick model
-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 핵심역량교육연구
- 제7권 제2호
-
2022.12113 - 140 (28 pages)
- 657
이 연구는 최근 들어 중장년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평생교육기관들이 제공하는 중장년층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성과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를 통하여 교육프로그램 평가모형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Kirkpatrick 평가 모형 및 이를 활용한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하여 평가지표 초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평가지표 초안를 토대로 교육담당자 FGI와 델파이조사를 통한 타당화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반응평가, 학습평가, 행동평가의 3개 영역, 11개 항목, 51개 지표로 구성된 중장년층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평가지표를 실제 평가에 적용할 경우 상대평가가 아닌 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일정 기대 수준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평가 결과를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각 기관이 평가 지표를 통하여 프로그램 운영 및 성과에 대한 환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지침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provided by domestic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of all, this study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Kirkpatrick evaluation model and previous studies, and the 1st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through a case study on the domestic and foreig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his study implemented a validation process through FGI and Delphi surveys by the field education coordinators, and then the evaluation indication was finalized with 3 areas, 11 items, and 51 indicators. Based on the above process, this study tried to provide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utilizing those indicators and suggestions for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중장년층 대상 교육프로그램 평가 지표 개발 절차
Ⅳ. 중장년층 대상 교육프로그램 평가 지표
Ⅴ.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