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약 노인에 관한 국내 및 국외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for Frail Older Adults in Domestic and Abroad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 제4권 제2호
- : KCI등재후보
- 2022.12
- 39 - 61 (23 pages)
목적 : 본 연구는 허약 노인에 관한 국내 및 국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허약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내 및 국외 문헌의 수집을 위해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와 Web of Science (WoS)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검색어는 RISS에서는‘frail OR‘frailty’OR‘허약’을, WoS에서는‘frail’OR‘frailty’를 사용하였으며, 국외 문헌은 인용지수가 높은 학술지 4개로 범위를 제한하였다.2017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및 국외에서 수집한 문헌을 연도별로 출판 문헌 수, 연구자, 연구주제, 평가 및 중재별 설정한 기준을 바탕으로 분류한 후 기술통계를 적용하였다. 결과 : 검색 결과, 956개의 문헌이 추출되었고 중복제거 및 포함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문헌 제거 결과 총 514개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연구 동향 분석 결과, 최근 5년 내의 허약 출판 문헌수가 2017년도를 기준으로 국내ㆍ외를 합하여 78%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그 중 우리나라는 111%의 증가율을 보여 국외 논문 출판 증가율 61%의 2배 가까운 증가율을 보였다. 학술지는‘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 and Medical Science’가 164건(31.91%)으로 가장 많은 논문을 게재하였다. 연구자는 Vellas, Bruno가 19편의 논문을 작성하여 가장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가도구는 Fried Frailty Index가 128회(33.51%)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중재 연구 횟수는 5년에 걸쳐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 : 국외 허약노인에 대한 연구 동향은 점차 세분화되어가는 허약의 정의에 따라서 연구주제가 다양화되고 있는 흐름을 보였다. 향후 진행될 국내 허약 연구에는 최신 연구 흐름과 변화한 허약 개념에 맞는 연구주제의 다양성을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및 국외 허약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허약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on frail older adults. Methods : From 2017 to 2021 years, the literature collected by domestic and foreign academia. The collec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number of published literatures, researchers, research topics, evaluation, and intervention criteria. Results : The growth rate of the number of frail older adults publications within the past five years was 78% of total, while Korea showed an increase of 111% nearly double the abroad growth rate of 61%.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 and Medical Science’ published the most with 164 papers (31.91%). As for the researchers, Vellas and Bruno wrote 19 papers each, performing most activly. As for the evaluation tool, Fried frailty index was most frequently used with 128 times (33.51%), and the number of intervention studies steadily increased over the 5 years. Conclusion : The results show that research topics are diversifying according to the subdivided concept of frailty. In the future study, latest concept and trend of frailty should be applied. Through this study, basiceline data on domestic frailty research could be provided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