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구조에 기반하여 원격수업을 경험한 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changes i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o experienced distance learning

DOI : 10.52384/JECEC.2022.7.2.1
  • 83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구조에 기반하여 원격수업을 경험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이다.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교사 3인을 대상으로 2022년 2월에 총 3회의 대면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은 진행 전 참여자의 동의를 구하여 녹음을 진행하고 전사하여 연구의 자료로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Wolcott의 기술, 분석, 해석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반복적인 비교분석을 통해 자료를 개방코딩하여 범주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수업,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3가지를 구분하여 범주화하였고 그에 따라 상위범주, 중범주, 하위범주로 도출하였다. 원격수업에서는 교사의 인식, 원격수업의 어려움, 원격수업의 가능성, 문제해결, 교사효능감에서는 교수-학습효능감, 학생참여 효능감, 학급경영효능감, 직무만족도에서의 상위범주는 교직만족도 와 직업환경 만족도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범주를 기반으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구조를 기반으로 살펴 보았을 때 일시적인 하락이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적응하며 유지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distance learning have changed their sense of effectiveness and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re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ere interviewed in February 2022 for a total of three in-deepth face-to-face interview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for the data collection. The participants provided consents prior to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For data analysis, Wolcott’s technology was utilized through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categoriz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distance learning,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ere selected as three main categories, and distance learning was then sub-categorized into three (upper, middle, and lower) accordingly. Based on these categories, we drew conclusions that there were changes in teacher effectiveness and job satisfaction that were temporary but, as a result, adapted and maintain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