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lay belief self-evaluation rating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72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의 개발은 기초연구, 검사도구의 개발, 검사도구의 타당화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기초연구는 놀이신념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기존의 검사도구를 분석하였다. 기초연구와 델파이조사를 토대로 놀이신념 검사도구 구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놀이신념 검사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세 차례에 걸쳐 델파이 전문가에 의해 내용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유아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예비연구를 거쳐 최종 시안이 확정되었다.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검사도구 최종 시안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아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여 문항양호도,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자기평정도구는 3개의 구성요소와 6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되었다. 놀이주체자인 유아에 대한 관점은 ‘유아는 스스로 배우는 유능한 존재(5)’와 ‘유아는 보호받고 가르침 받아야 할 존재(5)’ 2개의 하위요소, 놀이와 교육의 관계에 대한 관점은 ‘놀이 그 자체가 배움(6)’과 ‘놀이는 학습의 수단(6)’ 2개의 하위요소, 놀이운영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관점은 ‘교사는 놀이 지원․지지자(7)’, ‘교사는 계획․감독자(7)’ 2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되었으며, 총 3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놀이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로 유아교사의 놀이신념에 대한 더 넓은 관점을 살펴볼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한 현 시점에서 놀이신념과 관련 연구들을 보다 활발하게 증진시키고 학문적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development of a self-assessment rating scale for assessing the play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arried out and divided into foundational research,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rating scale, and validation of the assessment rating scale. Firstly, factors were deduced through foundational research. Then, a primary Delphi survey was performed. Primary items were created reflecting the results from the primary Delphi survey. Then, secondary and tertiary Delphi surveys were performed. The final draft of play belief self-assessment rating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rmulat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he research was performed on two hundred and fifty early childhood teachers. Last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item qualit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ating scale were examined. The self-assessment rating scale, which was develop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and six sub-factors. The perspectives on young children who are the players, are captures through two sub-factors, ‘young children are capable beings that can learn by themselves (5)’ and ‘young children need protection and teaching (5).’ The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education are captured by two sub-factors, ‘play itself provides learning (6)’ and ‘play is a tool (or a mean) for learning (6).’ The perspectives on the role of a teacher in a play environment is captured by two sub-factors, ‘teachers are the supporters and advocators in young children’s play (7)’ and ‘teachers are the planners and directors (7).’ In total, the sub-factors are composed of 36 item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