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이 겪는 위기감과 심리적 유연성 간의 관계에서 비집착이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전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65세 이하의 중년기 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중년기 위기감, 심리적 유연성 그리고 비집착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2.0,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인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중년기 위기감과 심리적 유연성 간에 비집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위기감, 비집착, 심리적 유연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중년기 위기감은 비집착, 심리적 유연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비집착은 심리적 유연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적 유연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비집착에 의해 부분 매개됨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이 심리적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집착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중년기 위기감을 겪고 있는 여성을 위한 불교 기반 상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non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risis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experienced by middle-aged women. CONTENTS To accomplish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mid-life crisis,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nonattachment to 300 middle-aged women between the ages of 40 and 6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2.0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earcher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nonattachment between mid-life crisis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RESULTS First, that midlife crisi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nonattachment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nonattachm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flexibility. Second,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life women’s crisis and psychological flexibility showed that it was partially mediated by nonattachment. The importance of nonattachment was identified in the effect of mid-life women's crisis on their psychological flexibility.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Buddhist-based counseling program for women experiencing a mid-life crisi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5)
- 예장 통합 서울 서북 노회 통계자료를 통해 본 한국 개신교 교회학교의 변화
- 시민교육을 위한 가톨릭 종교교육 방법론 고찰: 토마스 그룸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 교양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 현황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동아시아 두 섬의 신화와 전통주거 공간과의 상관성: 제주도와 오키나와의 화신(火神)의 신화와 부엌의 공간을 중심으로
- 니까야에 나타난 업설(業說) 고찰: 업설의 용례와 유형
-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심리적 유연성의 관계에서 비집착의 매개효과
- 마음챙김 명상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만해 한용운의 세계시민성 탐색
- 다문화 담론으로서 선교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WCC의 선교 이해를 중심으로
- 한국 신종교에 나타난 세계시민 의식: 원불교 사상을 중심으로
-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과 범재신론: 동학의 신관 해석을 중심으로
-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에서 제기하는 고통의 의미에 대한 신학적 성찰: 「구원에 이르는 고통」을 중심으로
- 상여(喪輿)를 이용한 한국 전통 상례(喪禮)의 치유 기능과 교육적 의미: ‘빈상여놀이’와 ‘상여소리’를 중심으로
- 체계적 융합교육 운영을 위한 교원과 재학생의 인식연구: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 김형준의 근대 시민사회 비판과 ‘신세대론’
추천 논문
-
김정은(Kim Jeong Eun), 조초희(Joh Cho-Hi)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초등영어교육 제16권 2호 2010.08
-
김혜리(Kim Haeri), 전병규(Jeon ByungKyu), 강영옥(Kang YungOk), 김은하(Kim EunHa)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영어교육연구 제24권 4호 2012.12
-
영어 관광안내서의 평가어 비교분석연구KCI등재이창수(Chang-soo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영미연구 제20집 2009.06
-
박수정(Park Soo Jeong), 배지영(Bae Jiyoung), 민수정(Min Sujung)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초등영어교육 제27권 1호 2021.03
-
조지현(Ji Hyun Cho), 조희정(Heejeong Cho)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영미문학교육 영미문학교육 제20집 3호 201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