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Responding the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 53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 나타난 국가·사회적 요구에 대한 고찰 과정을 통해 새로운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현장에 안착하기 위해 국가·사회적 요구가 어떻게 반영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국가·사회적 요구의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이전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총론의 국가·사회적 요구를 교과에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을 살펴보면서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서 디지털 소양교육, 생태전환교육, 시민교육의 세 가지 국가·사회적 요구를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분석하며 교과의 성격과 추구하는 개념에 부합하는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the ways of responding to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were examined in order for the new curriculum to successfully settle in the field through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shown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and curriculum proposal. As such, the significance of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in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was investigated. Also, the ways of responding to the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of general guidelines in the previous moral curricula were looked into. Looking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22 revised moral curriculum, the processes of dealing the three national and socialrequirements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in the moral curriculum proposal were analyzed, and a direction that fits the nature of the subject and the concept pursued was suggested.

Ⅰ. 서 론

Ⅱ. 도덕과 교육과정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내용 분석

Ⅲ. 시안에 반영된 국가⋅사회적 요구 분석

Ⅳ. 시안의 국가⋅사회적 요구 반영 방향 탐색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