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정책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탐색 연구
A Study on ways to activate youth policy governance: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Youth Policy Network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미래사회
- 제13권 제2호
- : KCI등재
- 2022.12
- 88 - 106 (19 pages)
본 연구는 청년 정책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청년 정책 거버넌스 국내외 현황 분석 및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문제점 및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활성화 방안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활성화 방안 탐색을 위해 청년 정책 거버넌스의 대표격 사례로 볼 수 있는 서울 청년정책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위원 및 담당자를 대상으로 FGI 및 서면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점차 나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운영의 아쉬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질적이고 눈높이에 맞는 교육에 대한 아쉬움이 있었다. 셋째, 청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유도의 필요성이 있었다. 넷째, 실질적인 정책 제안을 위한 지원 확대 필요성이었다. 이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정책 거버넌스의 구성원인 지자체와 청년 간의 협치 강화와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민간 전문가 또는 단체의 참여이다. 둘째, 청년 정책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하여 참가자에 대한 금전적, 비금전적 형태의 적절한 보상책의 필요성이었다. 셋째, 청년 정책 거버넌스의 원활한 운영과 지속적인 관심 및 참여 지속성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내외부적인 교류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였다. 넷째, 청년 정책 거버넌스와 관련하여 효과성, 활성화 방안 등을 탐색할 수 있는 연구 지원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청년 정책 거버넌스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이며, 향후 청년 정책 거버넌스의 발전을 위해서는 적절한 지원과 관련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activate youth policy governance.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status of youth policy governance and analysis of research trends, problems and revitalization measure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FGI and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embers and managers of the Seoul Youth Policy Network to explore ways to vitalize youth policy govern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lthough it is improving, there is still a lack of operation. Second, education at eye level was necessary. Third, it was necessary to induce participation so that young people can be continuously interested. Fourth, it was necessary to expand support.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of private experts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youth and to enhance professionalism. Second, an appropriate compensation plan for participants is needed. Third, measures to promote internal and external exchanges are needed. Fourth, research support related to youth policy governance is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vitalize youth policy governance in the future, and suggest that proper support and related follow-up research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youth policy governance.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