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애인가구의 소비패턴 특성 및 결정요인

빈곤여부와 가구유형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가구의 경제적 상태 및 욕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곤여부와 가구유형에 따른 소비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장애인가구의 소비패턴이 어떻게 유형화되는지 도출하고, 각 소비패턴을 결정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의 16차(2021년) 자료를 활용하여 K-means 군집분석과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소비패턴은 식료품중심지출형, 보건의료중심지출형, 돌봄·가사중심지출형, 관계중심지출형과 같이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장애인가구는 빈곤가구일 경우 식료품중심지출형일 가능성이 높고, 독거가구일 경우 돌봄·가사중심지출형일 가능성은 높지만 관계중심지출형일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장애인가구는 저소득층으로 여겨져 동질적 욕구를 가진 집단으로 가정되어 왔으나, 개별 가구가 갖고 있는 욕구의 표현 형태인 소비패턴이 4개로 구분되었듯이 동질 집단이라 할지라도 상이한 욕구를 가진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가구가 서로 다른 욕구를 지님을 고려할 때, 사회복지정책이 획일화되지 않고 각 소비패턴 유형에 맞는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식료품중심지출형, 보건의료중심지출형, 돌봄·가사중심지출형은 관계중심지출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는 취약집단이므로, 식료품중심지출형은 주거 및 소득보장, 보건의료중심지출형은 의료보장 확대, 돌봄·가사중심지출형은 돌봄 및 추가비용 보전 강화와 같은 정책적 개입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members in Korea, depending on poverty status and household types. In addition, the factors determined by the consumption pattern were explored by categorizing their patterns of households with disabled members. To this end, K-means cluster analysis and logit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consumption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s follows: (1) food expenditure type, (2) health care expenditure type, (3) voucher expenditure type, and (4) relationship expenditure type. If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members are poor, they are likely to be food expenditures. And if they are living alone, they are likely to be voucher expenditures. To date,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members have been regarded as low-income households and assumed to be groups with the same needs. However, just as the consumption pattern was divided into four, it can be confirmed that even the same group has different needs. Therefore, intervention of policy is required for each consumption pattern in consideration of diverse needs of households with disabled members. Especially, food expenditure type, health care expenditure type, and voucher expenditure type are more vulnerable character than relationship expenditure type.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