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노화태도와 사회적 고립감의 관계를 규명하고, 희망감이 노인의 노화태도와 사회적 고립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고자 설계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2022년 8월 1일부터 30일까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이 불성실한 25부를 제외한 275명의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노화태도는 사회적 고립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노화태도는 희망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희망감은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희망감은 노인의 노화태도와 사회적 고립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practical ways to reduce the social isolation of the elderly. Specifically, it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ttitudes and social isolation of the elderly, and to verify whether hop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ttitudes and social isolation of the elderly.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00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in Busan from August 1 to 30, 2022, and 275 data excluding 25 unfaithful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ging attitude of the elderly had a negative (-) effect on social iso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ging attitude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ense of hop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hope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sense of social isolation of the elderly isola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se of hope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ging attitude and social isol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ocial welfare intervention measures were suggest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