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 스트레스가 또래관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심리자본의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소재한 중학년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또래관계, 긍정심리자본 간에는 통계적으로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적응, 또래관계 간에는 통계적으로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부정적영향을 긍정심리자본이 조절효과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청소년이라도 긍정심리자본이 높으면 학교생활적응과 또래관계에 대한 부정적인 문제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과 같은 긍정적 정서가 학업스트레스 높은 청소년들에게 나타나는 다양한 부정적 문제를조절해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감안 할 때, 가정과 학교현장에서 더 나아가 우리 사회의 여러 영역에서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높일 수 있는 전문적이고 현실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질필요가 있음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psychological capital o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peerrelationships in adolesc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50 middle schoolstudent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school lifeadaptation, peer relationship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hool life adaptation, and peerrelationships. Second, it was fou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moderating effecton the negativ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Inother words, even in adolescents with high academic stress, it means that negative problemsrelated to school life adap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are reduced if positive psychologicalcapital is high. Considering that positive emotions such a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adolescents are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control various negative problems in adolescentswith high academic stress, this is a positive psychology of adolescents in various areas of oursociety beyond home and school. It also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fessionaland realistic programs that can increase positive emotions such as capital.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