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실천적 지식 이해를 위한 원천의 범주화
Categorization of Sources for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Understanding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
- 제43권 제3호
-
2022.12163 - 185 (23 pages)
-
DOI : 10.55152/KERJ.43.3.163
- 175
본 연구는 실천적 지식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실천적 지식의 의미를 알아보고 그 원천을 범주화하여 살펴봄으로써 실천적 지식의 이해를 높이고 향후 발전 방향을 찾는 데 그 목적은 둔다. 교사는 자신이 가르치는 환경이 복잡하고 불확실하므로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과 행위를 통해 얻게 되는 경험 및 개인적 역사, 신념, 철학 등을 사용하여 상황에 맞게 교수 행위를 판단하고 결정하게 된다고 한다. 이렇게 사용되는 지식을 연구자들은 실천적 지식이라 하고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실천적 지식 형성 및 발전을 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연구를 통해 알려진 그 의미와 내용이 종합적이고 통합적이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천적 지식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론에서는 이론적이며 실제적인 Elbaz의 연구를 바탕으로 실천적 지식의 성격, 내용, 정향, 수준을 소개하고, 연구자들의 실천적 지식 연구를 바탕으로 그 원천을 세부분(이론적 지식으로 보는 관점, 행위와 경험으로 보는 관점, 개인의 역사 · 신념 · 철학으로 보는 관점 등)으로 범주화하여 살펴본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교사가 자신의 실천적 지식을 이해하고 인식한 후에 이를 개발시켜 나아가 하는 이유와 더 나은 교육 환경을 위해 교사 지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aimed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practical knowledge and find a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by examining the meaning of practical knowledge and categorizing its sources through research related to it. Because the teaching environment is complex and uncertain, it is said that teachers use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they already have and their personal history, beliefs, and philosophies to judge and decide upon teac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knowledge used in this way is called practical knowledge by researchers, and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is possible only when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practical knowledge is given prior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content known through research because it is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Therefore, to understand practical knowledge, this study introduced the nature, content, orientation, and level of practical knowledge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Elbaz research; it identified the source based on the practical knowledge research of several researchers. We categorized it into parts (the viewpoint of theoretical knowledge; action and experience; personal history, beliefs, philosophy, etc.).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mention the reasons why teachers develop practical knowledge after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it, an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eacher knowledge to create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Ⅰ. 서론
Ⅱ. EIbaz의 실천적 지식
Ⅲ. 실천적 지식의 원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