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인지활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Usability Evaluation of the Mobile Cognitive Activity Program Application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 제14권 제2호
- : KCI등재
- 2022.12
- 99 - 106 (8 pag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지증진을 위해 개발된 모바일 인지활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인지증진 활동을 위해 개발된 모바일 인지활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를 시행하여 본 어플리케이션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사용성 평가를 위해 전문가 6인에게 사용성 평가도구(MARS)를 적용했고, 대상자인 노인 5명에게 사용성 평가(uMARS)를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ver. 27.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모바일 인지활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 결과는 전문가의 경우 4.13(±0.26)점이었고, 노인 5명에게 실시한 사용성 평가 결과는 4.00(±0.12)점이었다. 전문가 집단은 심미성(aesthetics) 영역에서 4.50(±0.16)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참여(engagement) 영역은 3.76(±0.57)점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주었다. 노인 집단의 경우, 주관적인 품질(subjective quality) 영역에서 4.15(±0.19)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주었고, 참여(engagement) 영역에서 3.76(±0.32)점으로 가장 낮은점수를 주었다. MARS 및 uMARS 도구의 사용한 평가 결과에 따르면, 개발된 모바일 인지활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3.0점 이상의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운 수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어플리케이션을 보완한 뒤, 추후 대규모 사용성 평가를 진행할 때 의미 있는 참고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개발된 모바일 인지활동 프로그램이 가정 또는 재가방문 등의 지역사회 서비스뿐만 아니라 병원, 요양원 등 관련 시설 내에서도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노인 및 치매의 인지기능 관련 새로운 프로토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user evaluation of the Mobile Cognitive Activity Program application which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cognition of the elderly. Methods : We conducted a usability test of 6 experts and 5 elderly with normal cogniti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developed apps was based on the professional (MARS) evaluation tool and the user (uMARS) evaluation tool.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7.0. Results :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 of the Mobile Cognitive Activity Program were 4.13(±0.26) for professionals and 4.00(±0.12) for the elderly. The expert group obtained the highest score in the aesthetics category, and the user group obtained the highest score in the subjective app quality category. Both groups received low ratings in terms of engagement through participation. From the resul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using MARS and uMARS, the Mobile Cognitive Activity Program application showed an appropriate level of usability. Conclusion : This study also supplements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application, and it will be a meaningful source of data while conducting a large-scale usability evaluat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