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Teaching Food Literacy in Australian Secondary Schools: Skills and Theory to Influence Adolescent Food Behaviours

섭식 행동은 청소년기에 형성되며 따라서 이 시기는 건강한 평생 식습관을 자리 잡는 데에 중요하다. 학교는 청소년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학교 기반의 식품 문해력 (literacy) 교육은 건강한 섭식 행동 개발을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는혼합연구방법의 탐색적 연구로 호주 퀸즈랜드 가정과 교사가 7-10학년 디자인과 기술 교육과정을 통해 식품 문해력 교육을수행한 방법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평생 건강한 식습관을 강화하기 위해 응답자들이 사용한 식품 문해력 교육전략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식품 문해력 개념, 수업 유형, 교육학적 접근 및 맥락화 전략에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정성적 자료는 Leximancer, 정량적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 (N = 117)는 식품기술 및 행동, 식품 및 영양 지식, 식품 태도, 식품에 대한 생태적 영향 및 식품 결정 등을 포함한 매우 다양한 식품 문해력개념을 가르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적 개념에 가장 많은 수업시간이 할애되었으며 (42%), 가장 자주 사용된 교육 전략은실용적 요리 기술 (100%)이었다. 9%만이 요리의 재료를 건강식품으로 제한하였다. 비판적 관점이 널리 채택되지 않은 것으로나타났다. 교사들은 식품 유형, 건강 및 영양, 다문화 식품, 식품 산업의 순으로 맥락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결과는 호주 퀸즈랜드 가정과 교사들이 이론/지식과 기술 개발을 연결하는 최적의 식품 교육을 위한 식품 리터러시의 많은측면을 가르침으로써 식품 문해력 교육의 연합(nexus)을 제공하였음을 확인해 주었다.

Dietary behaviours are established during adolescence, making this stage important for adopting healthy lifelong food habits. Schools are highly influential on adolescent behaviours making school-based food literacy education a vital avenue for healthy food behaviour development. This mixed methods exploratory study examined how Queensland (Australia) home economics (HEc) teachers delivered food literacy education through the Australian Years 7-10 Design and Technologies Curriculum. It provides insights into the food literacy education strategies respondents used to enhance adolescents' lifelong healthy food behaviours. An online survey gathered data on food literacy concepts, lesson types, pedagogical approaches, and contextualisation strategies. Qualitative data were analysed using Leximancer and quantitative data through SPSS. Respondents (N = 117) reported teaching a wide variety of food literacy concepts, including food skills and behaviours, food and nutrition knowledge, food attitudes, ecological influences on food, and food decisions. Theoretical concepts dominated teaching time (42%). The most frequently (100%) employed teaching strategy was practical cooking skills. Only 9% reported limiting cooking ingredients to healthy foods. A critical focus was not prevalent. Teachers reported contextualising lessons to (in descending order) food types, health and nutrition, multicultural food, and food business. Results confirmed that Australian (Queensland) HEc teachers delivered a food literacy educational nexus by teaching many food literacy aspects to support optimal food education that links theory/knowledge and skill development.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