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노인의 인지훈련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평가

Based on Augmented Reality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gnitive Training Applications for Elderly

목적: 본 연구는 기존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훈련 애플리케이션 ‘치매 Down’을 개발하고, 사용자와 대상자를 통해 만족도 및 사용성과 사용자를 통해 내용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은 2020년 9월∽2021년 5월까지 총 9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 및 진행자 측면에서의 사용성 평가는 진행한 30명의 치료사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만 65세 이상 85세 미만의 프로그램 참여 노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및 만족도 평가를 진행하였고, SPSS Statistics 24.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을 참여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사용성 및 만족도 평가는 likert 4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용성에 대한 평가는 2.93±0.43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 평가 3.27±1.03점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을 진행한 치료사의 사용성 평가 또한 likert 4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3.05±0.26으로 나타났다. 내용 타당도에 대한 결과는 전체 CVI .86, 신뢰도는 Chronbach alpha는 .82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인지훈련 애플리케이션은 노인의 사용성, 만족도에 긍정적인 결과로 확인되었다. 또한 치료사들이 사용성과 내용타당도에 긍정적인 결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노인들의 치매예방, 인지재활 중재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gnitive training application ‘Dementia Down’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that applied Augmented Reality (AR) by supplementing the existing Virtual Reality (VR) program. Methods : The applic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 months from September 2020 ~ May 2021. For the usability evaluation in terms of content validity and facilitator of the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30 therapists who conducted it, and usability and satisfaction were evaluated for the e lderly who partic ipated in the program between the ages o f 65 and under 85, and SPSS Statistics 24.0 version was used.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 For the usability and satisfaction evaluation for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Likert 4-point scale was used, and the usability evaluation was 2.93±0.43 and the satisfaction evaluation was 3.27±1.03.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therapist who conducted the program also used the Likert 4-point scale, which was found to be 3.05±0.26. The results for content validity were .86 overall CVI and Chronbach alpha was .82 for reliability, which was high. Conclusion : The cognitive training appli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nfirmed as a positive result for the usability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addition, the therapists were confirmed to have positive results for usability and content validit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application will be actively used in various services such as dementia prevention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using the applicat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