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치매 질병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ementia Diseases by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목적: 본 연구는 치매질병에 대한 인식을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치매 인식교육을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치매질병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KSDC의 2021년 「치매 용어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자료를 이용했다. 1,200명이 참가하였고, 조사 기간은 2021년 5월 18일-28일까지 8일간 구조화된 설문지를 전화면접 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대상자의 일반적은 특성은 빈도분석 하였다. 성별, 결혼유무, 학력수준, 치매가족과 유무 및 동거 유무에 따른 치매질병 인식은 독립표본 T 검정을 하였고, 나이, 학력에 따른 치매질병 인식은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통계적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치매 질병 인식은 성별, 결혼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치매가족 유무와 치매가족과의 동거여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매질병 인식과 연령, 교육수준은 모두 부(-)적 상관관계를보였다. 결론: 치매질병인식과 인구사회학적 여러 변수들 간의 차이 및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치매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Objective :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dementia diseas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mentia awareness education Methods : In order to analyze the awareness of dementia diseases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data from KSDC's 2021 Public Perception Survey on Dementia Terms were used. 1,200 people participated, and the survey period was eight days from May 18 to May 28, 2021,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elephone interview survey metho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he recognition of dementia diseases according to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dementia family status, and cohabitation was independently tested, and Pearson's correlation was analyzed for recognition of dementia diseases according to age and educa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0.05. Results : The awareness of dementia disea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marital statu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mentia families and whether they lived together with dementia families. The perception of dementia disease, age, and education level all showed negative (-) correlations. Conclusion : I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dementia disease awareness and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and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policy directions for preventing and managing dementia.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