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모세포종 환자에게 마음챙김기반 중재가 스트레스,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 단일 대상 연구

The Effects of Mindfulness Based Intervention o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 Glioblastoma Patient: A Single Subject Design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교모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마음챙김기법 중재 적용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것이다. 연구방법2022년 7월부터 2022년 8월까지 교모세포종 환자 단일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마음챙김기반 중재는마음챙김에 대한 이해와 마음챙김을 위한 훈련 등이 포함되어있고 연구설계는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중 AB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중재 전(A), 중재 1주일 후(B-1), 중재 2주일 후(B-2), 중재종료일(B-3)에 스트레스, 불안과 우울의 정도를 측정 하였다. 연구결과심리적인 증상관련 점수 결과 기초선에서 스트레스 23점, 불안 45점, 우울 31점에서 중재종료 후각각 13점, 34점, 19점으로 스트레스, 불안, 우울의 감소가 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결론본 연구를 통하여 교모세포종 환자에게 마음챙김기반 중재는 스트레스, 불안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ndfulness based intervention to Glioblastoma patient. Methods : From July 2022 to August 2022, it was conducted as a single target for Glioblastoma patients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clude understanding mindfulness and training for mindfulness, and the research design used AB design among individual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and measured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before intervention (A), 1 week after intervention (B-1), 2 weeks after intervention (B-2), and the end of intervention (B-3). Results : As a result of psychological symptom-related scores, from 23 points of stress, 45 points of anxiety, and 31 points of depression in the baseline, to 13 points, 34 points, and 19 points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respectively, showing changes i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Conclusion : T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ind-based intervention in Glioblastoma pati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