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경도인지장애노인과 경증치매노인 대상 목공프로그램의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성 검증

The Effects of a Woodworking Program o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Dementia in Terms of Cognitive Function

목적: 본 연구는 비약물적 중재의 하나로써 목공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경도인지장애노인과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시 Y 치매센터를 이용하는 경도인지장애노인 32명, 경증치매노인 28명을 실험군, 통제군으로모집하여, 실험군은 5주간 주 2회씩 약 120분 동안 목공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연구대상자는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MoCA-K를 통해 인지기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목공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통제군의 집단간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증치매 실험군의인지기능 평균점수가 사전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사전-사후 인지기능의 평균 변화를살펴보았을 때, 경증치매 실험군의 인지기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본 연구는 노인의 목공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인지기능 향상의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경도인지장애와 경증치매노인으로 집단을 세분화하여 치매 전 단계와 초기 단계 노인의 목공프로그램 참여에대한 인지기능의 변화 차이를 검증하여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로서 목공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woodworking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dementia. Methods : The participants are 32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28 elderly with mild dementia a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MoCA-K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participants Results : The average score in cognitive function of the mild dementia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p<.05),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gnitive function average score between the before and after group(p<.05).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e benefit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for seniors participating in carpentry activities. As a result, this suggests a course for development in woodworking activities to enhance the cognitive function of dementia patien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