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메모리얼 공간에서의 외상 후 성장(PTG) 경험 분석 연구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 in a Memorial Space: The Sewol Ferry Incident and Donors of the April 16 Memorial Hall

현대 메모리얼 뮤지엄은 비극적 사건으로 인해 발생한 희생자에 대한 기억의 보존과 추모, 공동체가 겪은 외상의 치유, 나아가 균열된 사회의 복구 및 건강한 미래사회 건설 등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공적의미를 지닌 공간이다. 이런 메모리얼 공간은 전 지구적으로 빈번해지고 있는 자연재해와 사회재난을 극복하고 더 건강한 미래사회 건설을 위한 공간으로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2014년 세월호 참사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후유증이 컸던 근래 최대의 재난사건이었다.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의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4.16기억전시관을 중심으로 메모리얼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현상의 본질을 밝혀내고 메모리얼 참여를 통한 외상 치유 및 외상 후 성장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규모 사건을 목격하고 간접외상을 겪은 공동체가 재능기부와 전시물 기증을 통해 어떻게 자기지각의 변화와 대인관계의 변화, 그리고 인생관의 변화를 이루어냈는지 Tedeschi & Calhoun의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이론을 기반으로 참여자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자기노출(self-disclosure)과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의 경험이 가능한 상호작용 환경을 기반으로 참여자들이 외상 후 성장 경험을 이루어냈음을 확인하였다.

Unforeseen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are increasing every year with the advent of climate change, armed conflicts, and social disruptions in the world. The Global Assessment Report (GAR2022) by the UN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UNDRR) revealed that 350 to 500 disasters took place every year over the past two decades. In this light, memorial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public spaces where the community can partake in the pain of the tragedy, heal from the trauma experienced by the community, and recover from the divided society to build a healthier fu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April 16 Memorial Exhibition Hall that commemorates the victims of the Sewol Ferry Incident of 2014. 304 among 476 on board were lost during this incident, the majority being highschool students in their teenage years. This tragedy shook the nation in its entirety, and many who witnessed the event suffered from indirect posttraumatic symptoms such as insomnia, anxiety, depression, and helplessness. An in-depth interview of five donors of artworks to this memorial hall revealed that all of them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as the result of their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 participants, families of victims, and visitors at the exhibition hall. Through self-disclosure and social support, the donor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self-perception, life outlook, and relation to others. These changes ultimately correspond to the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proposed by Tedeschi and Calhoun. As such, interactive memorial spaces can provide posttraumatic growth for the community that experienced trauma.

Ⅰ. 서론

Ⅱ. 메모리얼 공간과 세월호 참사

Ⅲ. 외상의 분류와 외상 후 성장 이론

Ⅳ. 4.16기억전시관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Ⅴ. 4.16기억전시관 기증자 경험 분석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