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성인 발달장애 직장인의 장애인 평생교육 참여 활성화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Activation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of Adult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 연구에서는 성인 발달장애 직장인의 장애인 평생교육 참여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성인 발달장애 직장인 5인과 발달장애 학생 취업지도 경험이 있는 중등특수교사 5인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2월부터 2022년 4월까지 대면 또는 비대면(ZOOM)의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1:1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개념화, 부호화, 하위범주, 상위 범주 생성의 과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삶에서 장애인 평생교육이 갖는 의미는, 배움이 느린 발달장애인의 특성이해와 사회적응, 독립적이고 행복한 삶을 위해 필요한 교육이었으며, 성인 발달장애인 당사자는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행복감과 자신의 성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둘째, 취업한 성인 발달장애인이 장애인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데 겪는 어려움으로는 홍보 부재로 인한 인식 및 프로그램 정보 부족, 학령기 교육과의 연계 부족, 지역사회 내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졸업 후 취업한 성인 발달장애인들이 집과 직장만 오가는 단조로운 일상에서 장애인 평생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직장인의 요구를 고려한 지역사회 내 다양한 평생교육기관과 프로그램의 제공, 학교 교육과의 연계, 참여 확대를 위한 지원인력에 대한 요구 및 졸업한 발달장애인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의 요구가활성화 방안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revitalize the participation of adult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five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fiv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Data were conducted through deep-interview in face-to-face or non-face-to-face (ZOOM). The study results through coding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the liv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employment was education a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slow to learn, adapting to society, and living an independent and happy life. He said that he was able to experience happiness and his own growth through the program. Seco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mploye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lack of awareness and program information due to lack of publicity, lack of connection with school-age education, and lack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the local community. Third, in order to vitalize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the monotonous daily lif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employed after graduation, only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home and work. The demand for support manpower for education and the need for a system to manage and support graduat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ppeared as activation measure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