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동향 (2000~2021년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 in art therapy using digital media (Focusing on thesis of degree and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21)

  • 209
표지.JPG

본 연구는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체계적인 중재프로그램으로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근거와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한국에 발표된 디지털미디어와 미술치료로 검색된 석․박사 학위 논문 25편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31편으로 총 56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분석기준에 따라 일반사항,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따라 나누었으며, 각 영역의 분석기준 표에 따라 분석,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통계자료는 엑셀프로그램(Microsoft office Excel 201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사항의 결과는 2000년 ~ 2021년에 논문게재 수와 학술지수가 점차 상승하였으며, 미술치료 전공자의 논문이 확연하게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연구주제에서는 정서 영역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주제별 측정 도구는 주제별로 반복적으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연구대상에서는 남녀 혼성과 청소년 대상이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에서는 사례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art therapy in using digital media and intended to present evidences for more effective programming and direction of research in digital media art therapy with the systematic intervention program. 56 researches, 25 master and doctoral thesis and 31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21 related to Digital media and art therapy, were analyzed. Articl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general research topics, subjects, and methods. Frequency and portion was yielded by the basis table of each part, and statistics was analyzed by Microsoft office Excel 2010 software. The research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cademic journals and publications gradually increased from 2000 to 2021, and the article number of art therapy major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the emotional domain was the highest in the study topic, and the subject-specific measurement tools were used repeatedly according to subject. Third, the major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male and female mixed and adolescent subjects. Fourth, case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in research methods. Through this results, the study finally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