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오대산 월정사 템플스테이 외국인 대학생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사찰에서의 템플스테이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템플스테이에서 무엇을 경험하였는가?’, 둘째, ‘템플스테이 경험으로부터 무엇을 얻었는가?’, 셋째, ‘템플스테이 경험을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B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대학생 템플스테이 참여자 27명이며, 2022년 7월에 서면으로 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결과는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M;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템플스테이 경험, 템플스테이 경험으로부터 얻은 것, 템플스테이 경험을 일상생활에서 활용방안 등 3개 영역에서 10개 범주와 2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템플스테이 경험 영역에서는 불교경험, 멘탈스파경험, 아름다운 자연환경, 따뜻한 만남 경험의 4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템플스테이 경험으로부터 얻은 것 영역에서는 불교에 대한 호기심이 생김, 나를 보는 시간을 얻음, 불교의 진정한 의미를 배움 4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템플스테이 경험의 일상생활의 활용방안의 영역에서는 장기기억저장고에 저장, 일상 스트레스 대응전략으로 활용, 불교와 불교명상 연구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외국인 대학생 템플스테이 참여자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pth the Temple stay experience at a Korean temple for foreig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emple stay at Woljeongsa Temple in Odaesan.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did you experience in Temple stay? Second, what did you gain from the Temple stay experience? Third, how will you use the Temple stay experience in your daily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 foreign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Temple stay at a university in B city, Gyeonggi-do,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written questionnaire in July 2022. The collected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CQR-M). As a result of the study, 10 categories and 24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 3 areas: Temple stay experience, what was gained from Temple stay experience, and how to use the Temple stay experience in daily life. First, in the field of Temple stay experience, four categories were derived: Buddhist experience, mental spa experience,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and warm encounter experience. Second, in the area of what was gained from the Temple stay experience, four categories were derived: curiosity about Buddhism, time to see myself, and learning the true meaning of Buddhism. Third, in the area of the daily life application of the Temple stay experience, three categories were derived: storage in long-term memory, use as a strategy to cope with daily stress, and research on Buddhism and Buddhist meditation. The above results have been discuss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foreign university students Temple stay participant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