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온라인: 공연연계-예술교육’에서 교수학습자 관점에서의 연극감상교육 쟁점과 제언

Issues and suggestions for drama appreciation education applying online performance from the teaching-learning perspective

DOI : 10.15815/kjcaes.2022.17.6.307
  • 41

본 연구는 지속되는 앤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공연연계-예술감상교육의 쟁점을 파악하고 제언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하이브리드(Hybrid) 화 로 전환되는 교육 흐름 속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관점에서 감상교육의 쟁점과 제언에 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극감상교육에 초점을 맞췄다. 연구절차는 선행연구 고찰과 감상교육 개념정의와 조건에 대해 살핀 후 ‘온라인 공연연계-예술교육’에서 감상교육으로 전환 시 주목되는 감상교육의 쟁점들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 감상교육관련 전문가들과 개별초점면접 및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했고 이를 통해 감상교육의 방향성과 과제에 대해 청취하였다. 또한, 애드쉐드(J. Adshead)이론에서 감상교육 활성화를 위한 요소를 도출하고, 온라인환경에서 적용 가능성과 유의사항에 대해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지속적인 감상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문자들의 역할과 기대를 담았다. 본 연구는 현행 교과서 수준의 감상교육 요소를 진단하지 못했지만 다가오는 2022교육과정 실행에 앞서 다양한 교수학습환경에서 공연예술 감상 및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제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suggest the issues of arts appreciation education applying online performance in the ongoing endemic situation. Within situation in which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are consisted simultaneously, the suggestions of arts appreciation education from the teaching-learning perspective were necessary. This study focused on drama appreciation education. As for the research procedure, previous research study and the definition and conditions of arts appreciation education were examined. As a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of drama appreciation education and tasks as educators by conducting individual focus interviews and FGI (Focus Group Interviews) with drama appreciation education experts. Lastly, from J. Adshed's theory in arts education, factors for revitalizing appreciation education were derived and considerations online situation were explor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roles and expectations as educators and researchers about upcoming arts appreciation education are includ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교수학습자 관점에서의 ‘온라인 공연연계-예술교육’의 감상교육 쟁점

V. 결론 및 한계: 방향성 및 과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