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자폐스펙트럼 성향 아동 가족의 가족놀이치료 단일사례연구 : 양육효능감, 뇌파, 가족놀이평가의 변화

A Single Case Study on Family Play Therapy for Child with Autism Spectrum Features : Changes in Parenting Efficacy, Electroencephalogram, Family Play Evaluation

  • 493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 성향 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놀이치료 개입에 따른 부와 모의 양육효능감, 아동의 뇌파, 가족의 상호작용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단일 사례연구이다. 그 결과 가족이라는 친숙한 존재를 활용해 놀이라는 안전한 방법으로 가족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 첫째, 부와 모의 전체 양육효능감은 증가하였고 둘째, 자폐스펙트럼 성향 아동의 세타파, 알파파, 저-베타파(L-β) 증가를 통해 정서적 안정감, 즐거움, 집중력을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가족놀이평가에서도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가족놀이치료 대상을 자폐스펙트럼 성향 아동으로 확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지만 단일사례라는 한계점과 이에 따른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parenting efficacy, child's EEG, and family interaction according to family play therapy intervention for families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tendencies. As a result, when the family play therapy is conducted in using a safe playing with the familiar existence of family; First, the overall parenting efficacy of father and mother increased. Second, emotional stability, pleasure, and concentration are experienced through the increase of the theta waves, alpha waves, and low-beta waves in child with autism spectrum features. Third, positive interactions are also experienced in family play evalu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xisting family play therapy target is expanded to child with autism spectrum features,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imitations of a single case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